식습관·식이요법
Q. 콩을 삶아서 냉동실에 놔두면은 영양소는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쌀밥을 한 후에 냉동실에 보관한 후 해동시켜 먹으면 탄수화물의 양은 그대로 입니다.다만, 그 구조가 변하여서 혈당의 급격한 상승이 억제됩니다.콩도 마찬가지 입니다.콩에는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콩 단백질을 삶아서 냉동실에 두어도, 그뒤에 해동해도 모두 단백질 함량은 동일합니다.다만, 단백질 구조가 바뀝니다.이러한 단백질의 구조 차이로 소화의 속도가 바뀔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영유아·아동 식단
Q. 7세 유치원생 밥먹는 시간은 몇분이 적당?
안녕하세요. 저는 4, 6세 남아를 키우고 있습니다.유치원은 안가고 어린이집을 다녀요정말 집에서 밥먹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다만, 저희도 절대 youtube 보여주지 않고, 절대 먹여주지 않습니다.혼자 먹고, 혼자 다 먹을 때까지 기다립니다.물론, 욱 합니다. 그리고 짜증나고 화가 머리까지 납니다.그러나, 여기서 절대 포기 하지 않고 끝까지 기다립니다.그리고 정 안되면 10분 정도 시간을 주고 치웁니다.배고프다고 해도 절대 밥을 주지 않습니다.어린이집에서는 그렇게 자리에 앉아서 잘 먹는다고 합니다.한가지 바꾼 점이 있다면오후에 간식을 주지 않습니다.어린이집에서 보통 4시에 끝나는데, 밥먹을 때까지 과자 등을 절대로 주지 않습니다.다만, 사탕 1개 정도만 줍니다.그랬더니 밥을 잘 먹습니다.너무 두서 없이 썼습니다.크면 알아서 잘 앉아서 밥을 먹고밖에서는 분명히 정해진 시간에 밥을 잘 먹을텐데요.결국, 마음은 항상 부모인 것 같습니다.다시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간식을 주지 않기. 자녀를 기다려주기(인내하기).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10분만 기다려주고 치우기 그 동안 저희가 했던 방법을 공유드립니다.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60대 장년층은 하루에 햇빛을 어느정도 쐬어 주는것이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햇빛은 일반적으로 15~30분 정도 쬐는 것이 좋습니다.그러면 체내에서 비타민D가 합성이 됩니다.그런데, 그냥 햇빛을 쬐는것 보다는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비타민D의 합성은 뼈의 생성에 도움이 되어 골다공증 등에 예방이 될 수 있습니다.또한, 면연력과 근육의 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중요한 것은 가벼운 산책 또는 운동과 함께 한다면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습니다.정신적으로는 우울감 예방, 기분 전환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특히, 이렇게 운동과 병행할 경우 수면의 건강 수면의 질 향상 및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그래서, 조금이라도 밖으로 나가서 움직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컵라면을 매일 먹는 것은 건강에 안 좋나요?
안녕하세요. 컵라면을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우선, 컵라면의 라면에는 포화지방이 많고 밀가루로 만들어져 있어서 비만에 걸리기 쉽습니다. 특히, 밀가루에 의한 인슐린의 분비는 지방세포의 성숙과 지방의 저장을 촉진하여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기에 비만을 유발합니다.또한, 컵라면에 있는 나트륨 함량은높기 때문에, 국물까지 먹을 경우에 혈압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그래서, 고혈압에 걸릴 수 있습니다.여러 모로 좋지 못한 습관 입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허리띠를 조금 강하게 하는 경우와 느슨하게 하는 경우 사람의 소화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실제로 허리띠를 조금 느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압력이 너무 가하면, 위에서 물리적으로 음식물의 혼합 등이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물리적으로의 혼합이 있어야 소화 효소들과 음식물이 섞일 수 있는데, 이 부분이 잘 안 일어날 수 있습니다.추가로, 위산이 분비되기는 하나 충분히 섞이지 않아서 역류하여 역류성 식도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또한, 혈류가 충분하게 흐르지 않아서, 영양소의 전달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가장 좋은 것은 적당히 먹고,바지가 느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