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방 아파트 분양가도 많이 올랐는데 입주를 해야 하나 걱정인데요.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도 아파트 분양가가 계속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2023년에 분양가격 제한이 해제된 아파트 분양가는 물가상승으로인한 원자재가격 및 인건비의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건설사들의 PF대출 이자 부담,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인한 실적 악화 등이 겹치며, 채산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이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사는 수주에 참여하지 않고 분양금액이 높은 공사만 선별 수주를 하고 있어 최근 분양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도 적용되며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끝나게 되면 지방에는 건설 물량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Q. 우리나라 건설사 미수금 관련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미수금 17조는 대우건설이나 현대건설 등 국내 10대 건설사가 국내외에서 받지 못한 공사비인데, 국내 아파트 분양 후 일정 시점이 지나야 받을 수 있는 대금도 있지만, 대우건설이 쿠웨이트에서 수주한 정유공장 사업, 리비아 복합화력발전소 공사, SK에코플랜트의 파나마 석탄화력발전소 사업, 현대건설 폴란드 석유화학플랜트 사업 등 해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대금들은 수금이 쉽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건설사업은 특성상 미수금을 어느정도 깔아놓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미수금이 증가하면 자금 경색이 일어나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Q. 오피스텔마다 관리비가 천차만별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오피스텔의 관리비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데, 관리인이 공용부분에 대한 관리비를 청구하고 수령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관리비에 대한 세부적이고 명확한 규정이 없어서 건축주나 시행사에서 관리인 역할을 하며 관리비를 임의로 고지하다보니 2023년 3월에 법률이 개정되어 50세대 이상의 오피스텔에서는 관리비에 대한 징수, 보관, 사용, 관리 등을 월별 장부로 작성하여 5년간 보관하도록 되었으며 매년 1회이상 임차인에게도 관리비에 대한 보고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50세대 미만의 오피스텔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없어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Q. 부동산 분양가가 계속 올라가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 침체기가 되면 수요가 적어지므로 집값이 떨어져야 정상입니다만, 최근 아파트 분양가가 오르는 것은 물가상승으로인한 원자재가격 및 인건비의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건설사들의 PF대출 이자 부담,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인한 실적 악화 등이 겹치며, 채산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이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사는 수주에 참여하지 않고 분양금액이 높은 공사만 선별 수주를 하고 있어 최근 분양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비수도권 지역은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점차 심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