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돈 안 갚는 친구 사기죄로 고소 했는데 합의금도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사기죄로 고소한 경우 빌린 돈을 돌려받고 추가로 합의금을 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합의는 당사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피해 회복을 위한 합의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빌린 돈을 상환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며, 그 외에 정신적 피해나 시간 손실 등에 대한 보상으로 합의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합의 과정에서 빌린 돈과 합의금의 금액, 지급 방법, 기한 등을 명확히 정하고 서면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상대방이 말로 협박을 했는데 이를 녹음하지 못해도 고소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상대방의 협박을 녹음하지 못했더라도 고소는 가능합니다. 증거가 없어도 수사기관에 신고하거나 고소할 수 있습니다. 증거가 없는 경우에도 피해자의 진술, 목격자 증언, 정황 증거 등을 통해 수사와 재판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다만, 녹음이나 다른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경우 증거불충분으로 불송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사기관에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진술을 청취하고 정황 증거를 검토하겠지만, 명확한 증거가 없으면 혐의를 입증하기 어려워 불송치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
Q. 촉법소년이 살인을 한다면 혹시 처벌을 받지 않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촉법소년이 살인을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혀 조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촉법소년의 경우 보호처분의 대상이 됩니다. 소년법에 따라 만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촉법소년이 범죄를 저지르면 형사처벌 대신 보호처분을 받게 됩니다. 보호처분에는 보호자 위탁, 수강명령, 사회봉사명령, 보호관찰, 소년보호시설 감호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살인과 같은 중대 범죄의 경우 장기간의 소년원 송치 등 더 엄중한 보호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소년의 교화와 건전한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피해자 보호와 배상 문제는 민사적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