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분기 우리나라 지디피가 반등했다는데 긍정시그널?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은 대부분 기관에서 0.7%에서 1.6% 사이로 하향 조정된 상태로, 전년에 비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분기 성장은 미국 상호 관세의 기저 효과가 작용한 듯하며 차주부터 상호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 등 주요 교역 주도 경제 국가들의 성장률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큽니다. 주요 경제 기관별 한국 경제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수 부진 완화와 금리 인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2025년 성장률을 1.6%로 전망합니다.한국은행 전망은 2025년 성장률을 약 1.5% 내외로 보지만 최근 기조는 하향 조정 중입니다.현대경제연구원은 2025년 성장률을 0.7%로 대폭 낮췄는데, 이는 소비와 투자 부진 장기화 및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기인합니다.산업연구원은 1.0% 성장률로 하향 조정하며, 특히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습니다.OECD는 2025년 한국 성장률을 1.5%로 전망하면서도 과거보다 낮아진 상태라고 평가합니다.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내수 부진과 소비 투자 위축 지속건설 투자 및 수출 둔화, 특히 미국 통상 정책의 불확실성정치 및 경제 심리 위축반도체 등 일부 산업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체 성장에 제한적 기여2025년 2분기 기준 GDP는 전분기 대비 0.6% 성장했으나, 전년 대비 성장률은 0.7% 내외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