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민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전문가입니다.
윤민구 전문가
드림 공인중개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최근 부동산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어 이제 시작해 보려 하신다면우선 관련 서적을 늘 가지고 다니시며 시간 날때마다 짬짬히 보시면 좋겠습니다.경제 관련 뉴스에 귀 기울이시고 늘 생각하고 고민해 보세요.이러한 생활이 익숙해 지고 몸에 배셨다면 다음으로 현장에 나가서 임장활동을 해 보심을 추천드립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전세 매물 중 융자가 뭔가요? 위험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은행등 금융기관에 돈을 빌렸다는 즉,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 입니다.전세를 구하심에 있어 필수로 확인해 보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부동산 경매 컨설팅을 받을 때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경매 낙찰전 권리분석 비용으로 최대 50만원 이내에서 협의실비 30만원 이내에서 협의낙찰받지 못했더라도 입찰대리 수수료로 50만원 이내 협의총 130만원 이내의 금액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또함 낙찰시 컨설팅 비용느로 최초 감정가의 1% 또는 낙찰가의 1~2% 정도의 비용이 책정 됩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근저당 2건 있는 아파트 매수시 잔금절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같은날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동시 진행 합니다.잔금과 대출상환 및 근저당 말소까지 법무사가 대행해 주실 것이며, 잔금 처리와 동시에 소유권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류들 까지 같이 챙겨서 등기소에 당일 접수까지 완료해 주십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분양권 매매 시 공인중개사 수수료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전체 분양가액 기준으로 하지 않고 계약 당시까지 납부된 금약 기준으로 산정합니다.프리미엄이 있다면 그 금액까지 포함 합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세입자입니다. 현재 사는 곳에 후순위 대출이 존재할 때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다음 세입자 구할때는 후순위 대출금액 말소 조건으로 계약을 해야 쉽게 구해 질 것 입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부동산 원룸계약 관리비 부분 궁금증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한번 더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혹시 공용전기 사용분에 대한 금액이지 않을까 싶습니다.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개별 전기나 개별 가스 비용등은 호수별로 사용량 만큼 개별 납부 합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묵시적 계약 연장 상태에서 복비는 누 가 내야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묵시적갱신 이후 임차인은 언제든 나간다 할수 있고 그 통보한 날로부타 3개월뒤면 효력이 발생됩니다.즉, 통보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퇴거시 만기전 퇴실로 보고 중개수수료를 부담하여야 하겠으며, 통보후 3개월 뒤 정상적으로 퇴거시에는 정상적인 임대차 만료로 보고 중개수수료 부담하실 의무가 없다 할 수 있겠습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아파트 거래절벽 언제쯤 복구될까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경기침체와 금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현재는 평균거래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것이 사실입니다.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가 공표한 '7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월(114.1)보다 2.9포인트(p) 오른 117.0을 기록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고 이는 전국 기준 지수가 상승국면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4월(116.0) 이후 15개월 만이라고 합니다.수도권 주택시장 회복에 힘입어 7월 전국 주택매매심리가 상승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기사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으니 , 좀더 추이를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부동산
2023년 8월 17일 작성 됨
Q.
상가임대차계약기간이 1년이면 매년 5%씩 인상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보증금 및 임대료를 각각 5%씩 인상할 수 있고, 임대인은 계약 기간과 관계없이 1년 단위로 월차임 증액 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임차인에게 계약 갱신 요구권 10년이 보장되지만, 임대인에게는 5% 한도 내에서 1년 단위로 임대료를인상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월세 인상은 임대인과 임차인 협의가 필요합니다.무조건 인상을 요구할 수 없으며, 임차인은 거부할 수 있습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