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이슬기 전문가
노무법인호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해고·징계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징계해고 하자로 인하여 무효 후 재 징계해고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처음에 징계해고 한 부분은 징계해고 처분이 없어진 것이기에, 기존에 발생했던 문제에 대해서 보완하여 징계처분을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새롭게 처분한 징계해고의 위법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이런 경우에는 무기계약직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보직이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사업장에서 2년의 기간이 지나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이 됩니다.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기간제 예외에 해당하는 부분이 아니기에 해당될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기간제근로자의 2년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실업급여 수급여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실업급여의 경우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시에 해당되게 됩니다.원칙적으로는 사업장에서 계약기간 연장 등을 제안했음에도 근로자가 이를 거절하고 퇴사를 하는 경우 자발적퇴사에 해당하여 실업급여 수급사유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사업장에서 계약연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여야 부정수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요즘도 평생직장이란게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최근에는 근로자들이 이직을 자주 하는 상황이 많기에 평생직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현저히 적은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이는 사람마다 다르기에 대기업에 입사하여 정년까지 근무하시는 분들도 많은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계약만료되지만, 재계약 권유 받으면 실업급여 못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사업장에서 근로계약 연장 의사가 있으나 근로자가 이를 거절하는 경우 자발적 퇴사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퇴직시 연차수당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전년도 출근율이 80% 이상인 경우 15개의 연차휴가가 발생하며, 발생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퇴사한 경우라면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이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하며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 제기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편의점 최저시급 못받았는데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에 최저시급이 명시되어 있지만 이에 따라 지급받지 못한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경우 노동청에 진정 제기가 가능하며, 저녁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는 야간근로에 해당하기에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야간근로수당을 가산하여 지급받아야 하는 부분입니다.감사합니다.
구조조정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보통 중소기업에서 권고사직은 안 해 주고 자진퇴사를 시키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사업장에서 지원금을 받고 있는 경우, 권고사직으로 근로자를 퇴사시키는 경우에 지원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사업장에서는 가급적 권고사직을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근무시간에 앱테크 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해당 수익에 대해서 사업장에서 확인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다만, 해당 부분으로 인해서 업무태만 등의 사안이 발생된다면 사업장에서는 징계처분을 내릴 수 있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11월 16일 작성 됨
Q.
만일 제가 팀장이랑 싸우고 당일 퇴사하면 제 퇴직금을 못받거나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사직일의 경우 근로자와 사업주간의 합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원칙이며, 합의 없이 당일 퇴사를 하시는 경우라면 사업장에서 무단결근 처리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1년 이상 근속한 경우라면 퇴직금이 무단결근에 따라 일부 감액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무단결근을 지속한 것으로 보아 징계처리를 거칠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감사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