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형 쿨링 펜 수입요건 이 궁금합니다 !! 사업자통관시에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CPU COOLER는 HS CODE 8419.89-9020호에 분류됩니다.[품목분류4과-5056 (시행일자: 2020-07-27)]해당 물품 수입 시에는 세관장 확인대상은 없습니다. 사업자 통관은 비엘, 인보이스, 패킹리스트를 구비하여 수입신고하여 통관하시면 됩니다.참고통합공고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화학공정 유체취급용기 또는 그 밖의 공정에 사용하는 용기로써 설계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0.2Mpa(2kgf/cm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안전인증을 받은 것에 한하여 수입할 수 있습니다.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35˚C에서의 설계압력이 그 내용물이 액화가스인 경우에는 0.2㎫이상, 압축가스인 경우 1㎫이상인 압력용기는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기술검토 및 공장심사를 받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조등록을 한 것에 한해 수입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첫 무역 거래 시 결제 방식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무역거래 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송금방식, 신용장 거래, 추심, 기타 방법 등이 있습니다. 송금방식에도 대금결제 시기 등에 따라 사전송금, 사후송금, 동시송금 방식 등이 있습니다. 추심거래에도 D/P, D/A의 방법이 있으며, 신용장 거래 방식도 일람지급, 연지급, 인수, 매입 등의 방법으로 구분됩니다.무역 거래 당사자가 간의 결제 방법은 사전에 결정하여야 당사자 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송금방식이 가장 선호되는 결제방식입니다. 그렇지만 송금방식에도 대금결제 시기의 차이가 있으며,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용장 방식이나 추심 방식 등의 결제방법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대금 결제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나 서류작성이 번거롭다는 단점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가 가장 무역하기 좋은 나라는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와 수출입 규모가 큰 국가가 우리나라의 무역에 중요한 국가이며, 무역하기 좋은 나라라고 생각합니다.2023년 기준 우리나라 수출순위는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홍콩 순입니다. 수입순위는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대만 순입니다.이외에도 규모가 큰 국가는 대만, 홍콩, 인도, 싱가포르, 호주 등의 비교가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국가와 무역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편입니다. 이외에도 멕시코, 캐나다, 독일, 튀르키예 등과도 무역규보가 큽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Q. 관세율표와 물품에 대한 기준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마인크래프트 같은 블록은 HS code 9503.00-3300호에 분류될 것으로 판단됩니다.9503.00-3300호는 그 밖의 조립세트와 조립식 완구가 분류됩니다.(HS code는 물품의 특성, 형태, 재질, 기능, 성상 등에 따라 분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세관장 확인대상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른 완구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통관 가능합니다.어린이제품은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 또는 그부분품이나 부속품을 말합니다.본문에서 전연령이 사용 가능한 물품이라고 하였으므로 해당 물품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른 안전인증을 받아야 통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Q. 식품수입할때 성분표에 배합비율이 필수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캔디류의 한글표시사항에 영양성분 및 영양성분, 함량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배합비율을 필수 기재사항은 아닙니다.참고사항표시사항별 세부표시기준제품명식품의 처리,제조 가공시에 사용한 원재료명, 성분명 또는 과실, 채소, 생선, 해물, 식육 등 여러 원재료를 통칭하는 명칭을 제품명 또는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재료명(식품의 원재료가 추출물 또는 농축앤인 경우 그 원재료의 함량과 그 원재료에 함유된 고형분의 함량 또는 배합 함얄을 백분율로 함께 표시) 또는 성분명과 그 함량(백분율, 중량, 용량)을 주표시면에 14포인트 이상의 글씨로 표시합니다.감사합니다.
Q. CBAM 도입으로 인해 수출 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CBAM은 EU 수입업체에 대하여 물품 생산국에서 지불하는 탄소배출권 가격과 EU배출권 거래제도에 따른 탄소배출권 가격간 차액(탄소세)만큼 CBAM인증서 구매를 의무화 하도록 하는 조치입니다.2023년 10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전환기간을 거친 후 2026년 1월 1일부터 확정기간 시행할 예정입니다. EU는 이를 통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계획입니다.우리나라는 EU수출액 682억달러 중 CBAM 대상품목 수출비중은 46.2억달러이며, 이중에서 철강은 42.1억달러입니다.관리방안품목별 탄소배출량을 확인하여 관리시스템을 마련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합니다정부, 특히 관세청에서 지원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하는 지원사업을 통하여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