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불면증에 걸린 것 같습니다. 잠을 계속 못잡니다 어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 불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여름에 불면증을 더 자주 경험하신다면, 현재 주무시고 계신 환경이 쾌적한지를 한번 더 점검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온, 습도, 소음이나 빛, 침대 머리맡의 정돈 정도 등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면 환경 관리가 필요합니다. 자기전 스마트폰 하지 않기, 자기전에 물 마시지거나 과도한 운동하지 않기.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등 습관 역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셨 듯 졸릴 때 낮잠을 자거나 잠을 몰아잘 수 있는데, 이런 습관은 규칙적으로 충분한 잠을 자는 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잠이 오지 않을 때는 뒤척이기보다는 따뜻한 물로 샤워하고 잠시 의자에 앉아 독서를 하는 방법을 취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침대 밖에서 적당히 활동을 하다가 잠이 올 때 수면을 청하는 것이 입면에 도움이 됩니다.스트레스 관리나 다른 기분 문제 등이 수면에 영향을 주는 것일 수 있습니다. 혹시 혼자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어렵다면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불안, 우울감 등 정신적 문제가 불면의 원인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있거나 원인 모를 불면증이 지속되는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틱장애는 성인이 되어서도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틱과 공황증상에 대해 질문주셨습니다. 틱은 대부분 아동기에 발생하여 성인에 처음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로는 스트레스, 불안, 강박 증상이 심할경우, 신경계 질환,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도파민계 관련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틱 증상이 성인기에 처음 생겼다면, 위와 같은 문제 여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공황장애는 말씀하신 것처럼 성인기에 주로 발생하며, 스트레스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특징은 공황발작이 예측할 수 없이 갑자기 발생하여 이에 대해 예기불안/회피 등의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특정 스트레스에서만 나타나는 불안 증상과는 다른 증상입니다. 공황장애는 약물치료나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호전될 수 있으므로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