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최우영입니다.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최우영입니다.

최우영 전문가
허필우신경외과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두개골이 유합되는 시기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두개골은 여러 개의 뼈 조각이 봉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마봉합은 생후 3~9개월, 후두봉합은 생후 6~12개월, 시상봉합은 20~30세, 관상봉합은 24~40세에 유합됩니다. (유합되는 시기는 사람마다 다릅니다.)말씀하신 조기유합증은 하나 이상의 봉합선이 정상보다 훨씬 빨리 닫히는 질환인데, 이러한 질환은 두개골 비대칭과 안면 변형, 두통 또는 뇌압문제로 인해 시력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봉합선이 늦게 닫히는 이유는 출생 후 뇌는 급속도로 성장하는데, 봉합선이 열려있어야 뇌 용적 증가에 맞춰 두개골이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단단히 유합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평소 걸을 때 배에 힘이 들어가는게 정상인가요 아니면 힘을 풀고 편하게 걸어야하는게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실제로 병원에서 근무하다보면, 배에 자연스럽게 힘을 줘서 걷는거랑 힘을 풀고 걷는거랑 뭐가 좋은이 여쭤보시는분 들이 많습니다.우선 결과 먼저 말씀드리자면, 복부에 억지로 힘을 주는것보단 적당히 긴장감을 유지하는게 좋습니다.배에 억지로 힘을 줘서 걸으면 횡격막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얕은 호흡(가슴으로 호흡) 하여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다리골절의 정도에 따라서 기부스의 범위는 어떻게 정하고 어느정도 기부스를 하고 있어야 뼈가 붙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골절의 부위(발목, 발가락, 대퇴골)와 골절에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경상 수준에 골절이라면 실금을 얘기하여 짧은 깁스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수술은 하지 않고 약간의 움직임도 가능하며, 대부분 3주에서 한달정도 깁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중상으로 발생하는 골절은 분쇄골절 등을 말하는데, 이땐 아예 넓은 부위까지 고정을 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술 할수도 있습니다.이는 2~3달정도 깁스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깁스 후에도 충분한 재활운동과 보호대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리고 경상 골절은 뼈 유합속도가 빠르고 중상 골절은 뼈 유합 속도가 느립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체력장 후 너무 힘들어서 휴식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체력장 후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근육통과 피로감이 있다면, 이는 지연성근육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평소에 안하던 움직임 또는 운동을 해서 나타나는 통증으로 근육의 미세손상을 의미하며 너무 걱정하실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푹 쉬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우선 적극적으로 휴식을 취해주시고 조금씩 움직임이는 것이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파스 또는 온찜질은 당연히 도움이될 수 있으며, 아예 움직이지 않는것보단 약간의 걷기와 스트레칭 정도가 오히려 회복에 더 도움이될 수 있고 고강도 운동은 절대 하지않는것이 좋습니다.대부분 5일정도 지나면 괜찮아지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CT 촬영 후 스트레칭 해도 괜찮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복부 CT 촬영 후 몸이 뻐근하거나 불편한 느낌이 드는건 사람마다 다르지만, 흔히 느낄 수 있는 증상이며, 딱히 CT촬영 후 하면 안되는 스트레칭은 없습니다. 굳이 있다고하면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거나 복부 중심에 운동은 삼가해주시는것이 좋으며, 그 외에 스트레칭은 아무렇게 하셔도 됩니다.그리고 물을 충분히 드시는것이 좋으며, 만약 다음날 또는 다다음날까지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꼭 병원에 문의하시는것이 좋습니다.CT촬영을 하고 대부분 무리되는 경우는 없으며, 30대는 더더욱 괜찮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데드리프트 자세, 허리에 무리가 안 가게 하는 팁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선생님보다 헬스를 못할수도 있지만, 그래도 4~5년 헬스를 꾸준히 한 사람으로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복압의 약화와 골반불안정성으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한것으로 보입니다.이러한 경우엔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중간에 복압이 풀려 허리를 과하게 사용하거나 발바닥이 땅을 충분히 누르지 못해 둔근이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해서도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우선 고관절 스트레칭과 햄스트링 스트레칭, 그리고 무게를 좀 더 낮춰서 해보시다가 높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발목 골절 소견이 보인다면 어떤 병원에 가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엑스레이상 골절 소견이 보여 진료의뢰서를 받았다면, 그게 단순골절인지, 수술해야하는 골절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further evaluation는 추가적인 평가라는 뜻이고 Tx는 치료를 의미합니다.만약 단순 골절이라면,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며, 깁스를 하고 추후에 발목 가동범위 만드는 운동 등 재활운동을 하는것이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분쇄골절 등 심한 골절이라면 수술하는 병원에서 핀을 박는 수술을 해야할 수 있습니다.병원에는 타른 병원에서 발목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골절 소견이 있어서 왔다고 하시면 친절히 설명해주실겁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등마사지를 할때 뚝뚝 소리가 나는건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등 마사지를 받을 때 "뚝뚝" 소리가 나는 이유는 뼈가 맞춰지는 소리 또는 근육이 풀리는 소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대부분은 척추 마디 사이 관절안에 있는 윤활액 기포가 터지는 소리이며, 피로하거나 근육이 뭉쳐서 나는 소리일 가능성은 적습니다.소리가 난다고해서 큰 문제는 없으며,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너무 강하게 누르면 갈비뼈 골절이 될 수 있으므로 적당히 마사지를 받는것이 좋습니다.뚝뚝 소리는 관절 내 기포가 터지는 소리, 근육 뭉침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님, 소리가 나면 시원하긴 하지만, 구조적으로 회복이 되는건 아닙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무릎 꿇고 있는 자세가 좋지 않은 자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을 꿇고 있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한다면, 무릎관절과 연골, 신경에 계속된 압박을 줘 혈액순환장애와 연골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무릎꿇는 자세 자체가 무릎뼈와 대퇴골 사이를 압박시켜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오랜시간 무릎을 꿇고 있으면, 대퇴사두근을 약화시켜 무릎의 불안정성도 만들어 나중엔 퇴행성 관절염 초기증상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10~15분 정도 일시적인 불편감과 혈류가 약간 저하되고 30분 이상은 관절의 압박이 나타나며 저림과 통증이 발생합니다.1시간 이상 있으면, 혈류를 차단시키고 신경을 누르고 연골손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앞으로라도 최대한 무릎을 오랜시간 구부리는것을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케겔운동을 평상시에 해주면 건강에 좋다며 자주 하라고 하는데 어디에 좋은건가요? 그리고 하루에 몇 분정도 해주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케겔운동은 골반저근의 강화를 해주기 때문에 배뇨조절과 요실금 예방에 큰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골반저근은 호흡에도 영향을 끼쳐, 골반이저근이 제대로 수축하면 복압을 만들어주는데 도움이되고 (적절한 호흡을 하시면 장기능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항문괄약근과 직장 기능에도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하루에 3~5번 5초간 수축 5초 이완 하여, 5분 내외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