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치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전문가입니다.
이치호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5일 전 작성 됨
Q.
미중 갈등 심해지면 택배 배송비도 더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관세 갈등이 심해지면 결국 비용이 위로 밀려 올라가는 구조라서 소비자도 어느 정도는 체감하게 됩니다. 기업이 추가 관세를 맞으면 물건 가격에 반영하려 하고 운송업체도 리스크가 커지면 운임을 올리려는 움직임이 생깁니다. 특히 해외 직구 같은 경우 미국과 중국 사이에 관세 전쟁이 길어지면 물류 루트가 복잡해지고 배송 속도도 느려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세율만 바뀌는 게 아니라 검역이나 통관 절차가 더 까다로워지면 수수료나 통관대행 비용까지 얹혀질 수 있습니다. 아직 확실히 얼마가 오를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예전 미중 갈등이 격화됐을 때도 직구 배송비가 눈에 띄게 올라 소비자 불만이 많았던 적이 있습니다.
무역
5일 전 작성 됨
Q.
미국이 인공지능 칩 제한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했다는데 무역상 혜택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인공지능 칩 수출 제한을 풀어줄 나라 목록에 우리나라가 들어갔다는 건 단순히 정치적 메시지가 아니라 실질적인 무역 절차에 꽤 큰 차이를 줍니다. 기본적으로 미국이 지정한 제한 품목은 해외 판매 때마다 별도의 수출허가를 받아야 하고 이 과정이 길고 까다롭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기업은 이 허가 과정을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예를 들어 AI 학습용 GPU나 고성능 반도체를 수입해다 서버에 쓰려는 업체 입장에서는 지연 없이 들여올 수 있고 다시 가공해 제3국으로 수출할 때도 규제 위험이 낮아집니다. 반도체 장비 업체들도 안정적으로 미국산 부품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즉 공급망 충격에서 한 발 비켜난 셈인데 그렇다고 완전히 자유로운 건 아니고 특정 기술이 첨단 무기 전용 우려가 있으면 개별 심사 대상에 오를 수 있습니다.
무역
5일 전 작성 됨
Q.
AI 투자 정말 무역에도 숨통 틔워줄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AI 투자가 무역 현장에서 어떻게 연결될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단순히 기술 개발에만 돈을 쓰는 게 아니라 물류 시스템이나 통관 절차에 AI가 얹히면 체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적 서류 자동화나 원산지 검증 지원 같은 업무가 AI로 빨라지면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또 항만에서 화물 이동 경로를 AI가 최적화하면 체선료 같은 불필요한 비용을 막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공급망 차질이 생겼을 때 대체 경로를 실시간으로 제시해주는 기능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정책 펀드가 실제 기업 현장까지 내려와 체감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어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무역
5일 전 작성 됨
Q.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나라 기업에서 미국 물품을 산다는 내용이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정상회담 뉴스를 보면 갑자기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 기업 물건을 대규모로 사들인다는 얘기가 끼어 있어 의아할 때가 많습니다. 사실 이런 발표는 단순한 민간 거래라기보다는 양국 관계를 과시하는 성격이 큽니다. 대한항공이 보잉 항공기를 대량 구매한다든가 대기업이 반도체 장비를 도입한다든가 하는 건 기업 차원에서 이미 협의가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정상회담이라는 무대에 맞춰 발표를 하는 거죠. 미국은 자국 기업의 수출 성과를 강조할 수 있고 우리나라는 미국 시장과의 협력 강화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차원 지원이나 분위기 덕을 보는 효과가 따르기도 하고요. 그래서 교류라기보다는 전략적 연출에 가깝습니다.
무역
5일 전 작성 됨
Q.
APEC 정상회의가 한국에서 열린다는데 기업들한테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APEC 회의가 열린다고 하면 언론에서는 거대한 외교 이벤트로만 다루지만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조금 다른 측면도 있습니다. 정상회의 자체는 국가 단위 논의가 중심이라 직접적으로 수출 계약이 성사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회의 기간에 열리는 다양한 비즈니스 포럼이나 기업인 네트워킹 세션이 같이 붙습니다. 특히 무역관이나 KOTRA 같은 기관들이 바이어 상담회를 연계하는 경우가 많아 실무에서는 이런 부대행사 참여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회의장 근처에 해외 언론과 투자자 시선이 몰리니 홍보 효과를 노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준비 안 하면 그냥 정치 뉴스로 지나가 버리기도 해서 실제 활용은 각 회사의 적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