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관에서 신고할 때 현품 검사 대상은 어떤 기준으로 선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수출입 신고가 들어오면 세관은 모든 화물을 똑같이 검사하지 않습니다. 전산에 축적된 위험관리시스템에서 화주나 운송경로, 품목별 위반 사례 같은 정보를 종합해 위험도가 높은 건을 우선 걸러냅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서류와 실제 물품이 달랐던 이력이 있거나,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낮게 신고된 경우, 통상적으로 불법 반입 시도가 많은 품목이면 현품 검사 대상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 FTA 특혜 적용이나 감면 혜택을 받는 경우에도 서류 진위나 원산지 확인 차원에서 검사가 붙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동일 조건의 물품을 반복 수입해온 업체라도 갑작스럽게 거래처나 운송 경로가 바뀌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경고를 띄우기도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전산 선별과 세관 직원의 판단이 합쳐져 검사 대상이 최종 결정됩니다.
Q. 선적공간 부족 시 장기계약과 스팟계약 중 어떤 전략이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해상운임이 급등하거나 선적공간이 부족한 시기엔 선택이 더 복잡해집니다. 장기계약은 안정적으로 일정 공간과 운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장 운임이 급락하면 오히려 높은 단가를 계속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반면 스팟계약은 시세 변동을 활용해 저렴하게 확보할 가능성이 있지만, 경쟁이 치열한 시기에는 공간을 구하기조차 어렵고 운임이 예측 불가하게 오릅니다. 물동량이 꾸준하고 예측 가능한 기업이라면 장기계약이 유리한 경우가 많고, 출하 시점이 불규칙하거나 물량이 적다면 스팟계약으로 유연성을 확보하는 편이 낫습니다. 최근 시장 흐름을 보면 일부 기업은 장기계약을 최소 물량만 체결해 기본 운송을 확보하고, 나머지는 스팟으로 대응하는 혼합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