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물림사고 후 경과를 얼마나 지켜보나요?
제가 키우는 진돗개한테 팔을 물렸습니다.
다행히 머리를 흔들기전에 옆사람이 발로 차서 덜 찢어졌는데요.
많이 파여서 늦은밤에 응급실을 다녀왔습니다.
상처 보신 후, 꿰매기는 해야하나 당일은 어렵다.
경과를 보고 꿰매야 한다더라구요.
궁금한건,
제가 생산.조립 직종에 일하다보니
손~팔에 힘이 많이 들어갑니다
꿰매기 전,후 힘을 써도 상관없나요?
경과를 지켜보자는건 어느정도의 기간을 두고 얘기하는건가요?
파상풍 주사는 맞아서, 소독하고
항생제주사 맞고, 항생제 약 처방받아왔습니다.
꿰매기는 해야한다고 하는데 하루 지나서 꿰매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키우는 강아지에게 팔을 물리신 이후 응급처치를 잘 받은신 건 다행이네요 상처가 깊거나 패인 상태로 봉합이 고려되는 외상이라면 세균 감염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상처를 즉시 꿰매지 않고 상처 주위의 감염 유무 및 상처 내부 세균 감염의 가능성 그리고 상처 주변의 조직 괴사나 염증 여부등을 확인하시는게 좋으며 보통 2~3일 정도 감염 여부를 지켜보고 감염 증상이 없으면 그때 꿰매기도 합니다.
꿰맨 후에는 실밥이 벌어질 위험이 있으니 봉합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염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고 최소한 3~7일은 팔을 쉬게 해주는게 좋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힘을 쓰지 않으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꿰맨 이후에도 충분히 아물고 회복이 될 때까지는 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개 등 동물에 물리게 되면 항생제를 이용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보통 지연봉합은 2-3일은 경과한 이후에 고려를 합니다.
하루만에 봉합을 하는 것은 다소 시기가 빠릅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개 물림 상처는 감염 우려가 커서 24~48시간 경과를 보고 염증이 없을 때 꿰매는 경우가 많아요 상처 아물기 전 무리한 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고 꿰맨 후에도 최소 1~2주는 조심해야 해요 하루 지난 후 봉합도 가능하지만 상처 상태에 따라 다르니 경과 중에 통증이나 발열, 붓기가 생기면 바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개물림 사고를 당한상태라면 감염의 위험이높기때문에 상처부위를 제대로 관리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보통 경과를 지켜보는건 1~3일내에 감염징후나 상처상태를 확인하기위한것인데요 깊은상처라면 24시간내에 꼬매는것이 좋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고 치료계획을 설정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1. 상처 봉합 전 후로는 상처가 벌어지거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하루 이틀 정도 경과를 지켜보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3. 보통 72시간 내로 상처 봉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개물림 사고 후 상처를 꿰매기 전에 "경과를 지켜보자"는 말은 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려는 의미입니다. 개에게 물린 상처는 생각보다 깊고, 세균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곧바로 봉합하지 않고 최소 24~48시간 정도 상처 상태를 관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기간 동안 상처 주변이 빨갛게 붓거나, 진물이 나거나, 열이 나는 등의 감염 징후가 없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감염이 의심되면 바로 봉합을 하면 오히려 고름이 안에 갇혀 염증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꿰매는 시점은 상처의 상태, 감염 여부, 피부 손상의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개 1~2일 내 재진을 권유받게 돼요.
또한 말씀하신 직종처럼 팔과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일을 하신다면 꿰매기 전후로는 무리한 사용을 피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봉합 전에는 움직임이 상처 벌어짐이나 세균 침투를 유발할 수 있고, 봉합 후에는 실밥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져서 상처가 다시 벌어지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어요.
봉합 후 최소 3-5일 정도는 상처 부위에 가급적 힘을 쓰지 않고, 움직임을 제한하는 게 좋습니다. 일을 계속해야 한다면 상처 보호용 압박 붕대나 팔걸이(arm sling)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실밥 제거까지는 통상 7-10일이 걸리며, 이후에도 완전한 조직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마지막으로, 꿰매는 시점이 하루 지나서라도 감염이 없다면 꿰맬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오히려 즉시 꿰매지 않는 것이 감염 방지에 좋을 수 있으며, 의료진이 상처를 세척하고 소독하며 경과를 확인한 후 봉합하는 경우가 많아요.
키우시는 개라 광견병 접종은 이미 되어있는 상태일 것이고 이미 파상풍 예방주사를 맞으셨다면 항생제도 복용 중이시니 감염에 대한 1차 대비는 된 상태입니다. 다만, 상처가 깊다면 조직 재생과 흉터 관리도 병행해야 하므로, 상처가 완전히 아물기 전까지는 무리한 힘을 피하고 재진 꼭 받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봉합을 바로 하지 않고 기다렸다가 2차 봉합을 하기로 하셨다는 이야기이네요
감염확률이 높다고 판단을 하신 것 같습니다
환자분 상태 상처 상태에 따라 다를 수가 있지만 대체로 3-7일 정도 소독치료를 유지하면서
경과를 지켜보게 됩니다
제가 생산.조립 직종에 일하다보니 손~팔에 힘이 많이 들어갑니다 꿰매기 전,후 힘을 써도 상관없나요? 상처가 얼마가 깊은가 얼마나 넒은가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면 나을 때까지는 그렇게 하지 않는 편이 좋겠지요
경과를 지켜보자는건 어느정도의 기간을 두고 얘기하는건가요? 3-7일 정도를 이야기 합니다.
파상풍 주사는 맞아서, 소독하고 항생제주사 맞고, 항생제 약 처방받아왔습니다. 꿰매기는 해야한다고 하는데 하루 지나서 꿰매도 되나요? 환자분 상태 상처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감염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이 되면 많이 기다리지 않고 봉합을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