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택시장이 왜 이렇게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것인가요?

원가가 상승하면서 공급이 제한되고, 금리도 지속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 핵심지부터 최근에는 주변부로 갭 메우기 확산세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서울 핵심지 가격도 지속 강세입니다.

갑자기 집을 사지 않던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쫓기면서 구매를 시작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현심 공인중개사
    유현심 공인중개사
    우성공인중개사사무소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가 오르면서 부터입니다

    또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계속 오를거라고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

    그나마 매매보다는 전월세를 선호하다 최근에 전세사기로 인해 아파트전세를 많이찾다보니 전세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매매로 이어지는거 같습니다

    또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흐름을 잘타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 서울,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일부상승한 건 맞지만, 해당 상승이 부동산 회복기 또는 상승기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현재 해당 주택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대체제인 빌라등에 전세사기 위험이 높아지면서 전세수요가 아파트로 몰린 점, 그에 따라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질문에서처럼 전세가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그 결과치로 주택가격도 일부 상승한 이유가 큽니다. 또한 실제 주택실구매 대상자들이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고, 시장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지면서 구매보다는 임대차를 통해 앞으로의 추세를 지켜보는 심리가 강하기에 이러한 임대차 수요가 더 늘어나게 된것이지 실제 주택구매 수요가 확 늘어난것은 아닙니다. 보통은 부동산 가격이 주택전반 그리고 전국에 대해서 반등을 해야 추세적인 회복으로 볼수 있는데 현 상황만으로는 부동산 시장 회복기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시장 전체가 빠르게 회복하는게 아니라

    최근 전세사기 이슈로 인해 빌라, 다가구, 오피스텔의 전세 수요가

    아파트로 몰리면서, 아파트 전세가가 폭등하였고

    그만큼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 갭 차이가 줄어들면서

    갭투자 열풍이 다시 불고 있습니다.

    아파트 외 주택의 전세보증한도를 다시 풀어주면

    금방 식을거로 보입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3법 2+2년이 만료가 되면서 임대인들이 4년치 임대료를 한꺼번에 인상하면서 전세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전세가가 올라가면서 매매가를 올리고 그러므로 집값상승이 되고 또한 금리 인하의 기대감이 겹치면서 어느 정도 바닥을 다지고 있는 형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대부분 주택시장의 안정화를 바라보거나 앞으로 더 떨어질 가능성이 낮은걸 감안하여 매수하는듯 보입니다. 하지만 투기수요등에 의한 매수보다는 실거주 혹은 갈아타기 매물도 많습니다. 

    서울이라 하더라도 결혼하여 집을 구하고 또 그동안 기다렸던 분들도 매수로 돌아서 매매하는 모습도 보이는데요. 엄청난 활기가 띄기 보다는 조급했던 매물도 거둬들이다 보니 어느정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는듯합니다.

  • 투자는 실제 가치도 중요하지만 심리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단 자산 가치의 상승이 시작되고 상황이 좋아질 여지등이 있으면 가속이 붙습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원가가 상승하면서 공급이 제한되고, 금리도 지속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 핵심지부터 최근에는 주변부로 갭 메우기 확산세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서울 핵심지 가격도 지속 강세입니다.

    갑자기 집을 사지 않던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쫓기면서 구매를 시작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 현재 미국 기준 금리가 올 하반기에 인하될 것으로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인하될 것으로 보이는 점과 공급, 건축자재가격이 상승하여 주택가격이 폭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현재로서 판단이 곤란합니다. 만약 구매를 할 필요가 있다면 급매물위주로 메입하시면서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는 PIR은 OECD 국가중 하위권입니다. 집값이 언론의 보도와는 다르게 저렴한 나라라는 것이지요. 소득이 오르고 맞벌이로 인한 가구당 소득도 오르다 보니 가격이 올라도 집을 살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수요가 많아지는 것도 원인입니다. 현재는 전세수급이 불량하여 전세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 상승이 몇주간 이어지고 있고 이에 맞춰 매매가도 오르는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