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는 추우면걸리나요?전염으로옮겨서걸리는건가요?
감기는 추우면걸리나요?전염으로옮겨서걸리는건가요?
아무리추워도 감기에안걸리는데 누가옆에서 걸리면금방옮기는거같고 누구는 날이쫌쌀쌀해지면 금방감기에걸리고 잘모르겠습니다.감기는 어떨때잘걸리나요?
감기는 실제로 추운 날씨 때문에 직접적으로 걸리는 것이 아니라,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흔히 알려진 바이러스로는 라이노바이러스가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감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 자체가 감기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추운 날씨는 감기에 걸리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습니다.
감기가 전염되는 주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 중 전염: 감기에 걸린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바이러스가 포함된 작은 물방울이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가고, 이를 다른 사람이 호흡함으로써 감염됩니다.
직접 접촉: 감기에 걸린 사람과 직접적인 신체 접촉(예: 악수)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간접 접촉: 감기에 걸린 사람이 사용한 물건이나 표면에 닿았다가 그 물건이나 표면을 만진 후 자신의 입, 코, 눈을 만지는 것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가 감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사람들이 실내에 더 많이 머물게 되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이런 환경은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듭니다.
또한, 추운 날씨는 면역 시스템의 효율을 약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코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추천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감기는 rhinovirus, coronavirus를 비롯한 200여종의 바이러스의 비인두 감염을 총칭하는 진단명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인데 왜 날씨가 추우면 감기에 걸린다 이런 말이 있느냐면 날씨가 병균을 방어하는 우리 몸의 면역력이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온도가 낮은것 뿐만 아니라 건조함이 비인두에서의 백혈구들이 바이러스와 싸우는 기능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해지게 되는겁니다.
그래서 북극같은 경우는 너무 추워서 바이러스가 없다보니 감기가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는겁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은 춥고 , 건조한 환경에서, 체내의 보호막?이 약해지면서 (점막 건조 등)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서 그렇습니다
+ 옆에 바이러스 질환에 감염된 분이 있다면
주변에 바이러스 밀도?가 높아지면서 감염에 걸릴 가능성이 증가하고요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말하는 것을 통해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지고, 이것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증상입니다. 바이러스의 양이 몸의 면역력이 바이러스를 억제할 만큼보다 커진다면 감기에 걸리게 됩니다.
바이러스가 외부에서 많이 들어와도 면역력이 높다면 감기에 걸리지 않습니다.
추워지게 되면 몸의 면역세포들의 활동이 저하되기 때문에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고 감기 바이러스가 외부에서 유입되게 되면 감기 바이러스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감기 걸리기 쉬워집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입니다. 춥다고 걸린다면 남극/북극에 사는 사람은 매일 감기 달고 살겠지요? 춥지 않은 열대 지역의 사람들도 감기에 걸린답니다. 즉, 바이러스 감염은 노출에 의한 결과라는 것이지요. 물론 날씨가 추울 때 감기 바이러스가 더 활동적이고, 감염될 위험성이 더 증가하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피부과 전문의 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증이기 때문에 전염으로 걸리는 것입니다.
날씨만 춥다고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날이 추우면 바이러스가 활동을 잘 하기 때문에 감기가 유행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저희 답변자들이 양질의 답변을 드리는 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으로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몸에 독소가 많이 쌓여있을때 잘 감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