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이물감 무엇 때문 일까요? 위 내시경 을 해봐야 할까요?
이비인후과 에 가서 목 후두경도 보고. 코.귀도 보고 크게 이상이 없다고 말씀하시는데... 대체 뭐 때문에 이럴까요... 평상시 한쪽 코가 살짝 막혀있고 코 뒤로?무언가 있는듯한 느낌과 목에 이물감. 자다 깼을시 목 안 통증. 침 삼킬 때 통증이 있어요 갑상선 우측 1.8cm 양성 혹 2개.. 이걸로는 목이 불편하진 않을거라 말씀해주셨습니다.. 근육과 관련되지 않았을까 싶다고 해주셨어요..
침샘비대증 증상처럼 투턱이고 털 밑 쪽을 눌러보면 아파요...
어디 병원에 가서 어떤 검사를 해보면 좋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목안에 이물감이 있으나 이비인후과검사상으로 보여지는것이 없다면 매학기증상일수 있습니다 신경성으로 목구멍 근육이 조여지기도하고 가래가 끼고 염증반응도 있을수 있습니다.한의원치료 받아보세요
목의 이물감은,, 매우 흔하고 원인을 찾지 못해서 잘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1~2달 이내 일시적인 증상이라면 목감기 같은 감염 질환에 의해 목의 불편감 느껴질 수 있으니 경과관찰 해보세요
수개월 이상 지속되면 역류성 식도염등 의심해볼 수 있고, 콧물이 목뒤로 넘어가면 후비루 증후군 등 고려해야겠습니다.
그 외에 천식, 틱장애 등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목 이물감과 불편감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진찰 결과 특이사항이 없다면, 위식도역류질환, 만성 후두염, 인후두 역류질환 등의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침샘의 이상이나 경부 근육의 긴장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위내시경을 포함한 소화기내과 진료를 추천드립니다. 내시경 검사로 식도와 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목 통증과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두경부외과(ENT)에서 경부 초음파, CT 등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될 것 같습니다. 필요시 재활의학과에서 경부 근육에 대한 평가와 치료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편도결석이 있는 경우에 목에 이물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은 편도와 편도 내에서 상피 조직의 파편이 축적되어서 생기는 노란 알갱이를 의미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편도염입니다 편도 결석이 의심된다면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인후두부의 이물감이 지속되어 이비인후과에서 여러방면으로 확인해보셨으나 원인을 찾지 못한 상황이시군요. 불편감이 해결되지 않아 갑갑하시겠지만, 원인을 찾고자 하신다면 후두경 외의 추가적인 검사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상급병원의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CT나 MRI 등의 다른 영상의학적 평가법이 필요한 상황은 아닌지 진료받아보시고, 필요하다면 검사도 진행하여 원인을 찾아보실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육안으로 봤을 때 이상이 없는데도 아프다면 종합병원 이비인후과 가셔서 한번 더 진찰 받아 보시고 이상이 없다면 CT촬영을 한번 해보는게 안전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겉으로 안보이는 병변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한쪽 코가 막히고 코 뒤로 무언가 있는 듯한 느낌과 목 이물감은 비염이나 부비동염과 같은 만성적인 비강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알레르기나 감염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강 내시경 검사나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 삼킬 때 통증이 있고, 목 안 통증이 지속된다면, 위산 역류 질환(GERD)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인후두에 염증을 일으켜 목 이물감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내과나 소화기내과에서 위 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와 식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이비인후과에서 큰 문제가 없다면 그다음엔 역류성 식도염 등 증상으로 그럴수도 있으니 소화기내과 내원하여 위내시경을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만약에 소화기 내과에서도 큰 문제가 없다면.. 대학병원 급 재활의학과에서 연하검사라고 삼킴곤란 있을때 (주로 중추신경계 문제가 있을떄 발생) 하는 검사가 있어서 내원하여 한번 상담 해보고 필요하다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도 있겠습니다.
목에 이물감이 지속적으로 있고,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단순 역류성 식도염으로도 해당 증상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다 명확한 평가 위해서는 CT 촬영 요할 수 있고, 보다 명확한 평가 위해 소화기내과 내원 권유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