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도 부동산가격은 계속해서 상승할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요즘에 부동산가격이 주춤하는거 같은데 장기적으로 볼 떄는 부동산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가능성은 상승쪽이 더 많기 합니다. 이유는 최근 부동산 가격상승이 계속되고 있었고 정부의 대출규제로 현재는 상승세가 주춤되는 모습이지만, 수요증가의 요인이 금리인하가 시작되었고 향후 추가적인 인하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전제는 정부의 대출규제가 어느정도 시장안정화되었다 판단되어 다시 완화로 돌아서는 시점이며, 이러한 시점에서는 금리인하에 따른 부동산 상승효과가 더 커질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일단 대출규제와 금리인하가 섞인 상황에서는 주택가격은 수도권, 서울기준 강보합세, 그리고 대출규제 완화가 되고 금리가 더 인하된 상황에서는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판단되어 집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의 가격은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 할 듯 합니다.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모든 지역 모든 부동산이 장기적 우상향을 그리는 것이 아닌 경쟁력을 점차 잃는 부동산일 경우 장기적 우상향 보다는 상승 하락 횡보의 반복으로 우상향 보다는 현상 유지 정도 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지방의 도시를 살펴보면 인구가 유입이 되고 일자리가 생기는 등 인구가 날로 증가하는 지역은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기는 했지만 일부 소도시의 경우 지어진 아파트가 오래 됐기도 했지만 부동산 가격이 몇년전이나 지금이나 오르는 것이 없었기도 하며 거래 자체가 잘 이루어 지지 않더라구요.
또한 나이도 한몫을 합니다. 점차 고령인구는 늘어나고 젊은 인구가 줄어드는데, 고령의 사람들은 이동하려는 모습을 잘 보이지 않습니다. 살던 그대로 살고 싶어하고 변화를 싫어하기 때문에 거래가 잘 이루어진다고 볼 수 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대표적인 실물자산으로 경제가 성장함과 동시에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다만, 현재 부동산 가격은 적정가치대비 많이 오른상태라고 보는 시각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인구감소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동산가격이 계속 상승 할 것이라 장담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속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지금 서울이 공급이 부족해서 그렇지 어느정도 해결이 되면 안정이되겠지만 지금은 정부정책규제로 누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항상 주기에 따라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흐름을 잘타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규제 정책으로 보합상태이나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하락이 추정되어 있고 아파트 공급부족이 해소되지 않는한 부동산가격은 장기적으로는 볼 때 점진적 상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인하되면 대출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어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지만,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 상승이 이미 선반영된 감이 좀 있고 정부의 대출 규제와 경제상황의 악화 등으로 올해안에는 서울의 주요지역을 제외하고는 금리 인하의 영향은 제한적일것 같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수년내로는 공급부족과 집값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 등으로 우상향 할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구감소에 따라서 서울과 주요지역을 제외하고는 집값이 약세로 돌아설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이는 정부의 특별한 정책이나 제도 변화, 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자본주의는 인플레이션이 필수적으로 작동해야 돌아가는 시스템입니다.
우리나라 인구는 줄고 있지만 세계적인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통화량은 늘어나고 전세계인이 살 공간은 부족하게 됩니다. 특히 각 나라 주요 수도는 더욱 주택수요가 폭증하리라 생각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택시장은 우상향 하겠지만 초양극화로 인해 오르는 지역은 오르고 내리는 지역은 내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장기적으로 볼때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므로 부동산은 우상향이 맞습니다만 한국은 저출산문제를 해결하지못한다면 이미 주택보급율이 105%이므로 수요가 없어져 지방부터 붕괴될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