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경제용어중에 기저효과란 무엇인가요?

경제용어중에 기저효과라는 단어도 있던데 기저효과라는 단어의 뜻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기저효과의 사례는 어떤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평균적인 지표가 나왔더라도 과거에 지표가 너무 낮거나 높았을 경우 이번에 나온 지표가

        과거 대비 크게 상승하였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와 발생할 수 있는 왜곡된 지표를 말합니다.

      • 기저효과로 인하여 기업 실적이 크게 늘었다는 것은 늘어난 것 처럼 보이지만 과거 실적이

        너무 낮았기에 높아보인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는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기준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서 결과값이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 데, 만약 경기가 나쁜 상황을 기준으로 잡고 현재시점을 비교하게 된다면 경제가 나아진 모습을 보이게 되지만 반대로 경기가 좋은 상황을 기준으로 잡고 현재시점을 비교하게 된다면 경제가 크게 위축된 모습을 보이게 되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Base effect)란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 시점의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인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시대처럼 급락하거나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면 기저효과가 낮아지고, 소득이 급증하면 기저효과가 높아진다고 하는데 투자자들은 잘못된 결론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왜곡을 조정해야 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란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지난해네 태풍 피해로 농산물가격이 급등한 경우라면 전년 동기 대비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란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가 큰 차이가 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는 경제학 용어로 사용되며, 어떤 변화가 시스템의 기저나 기초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특정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때, 그 영향이 기존의 상태나 조건에 종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기저효과의 사례 중 하나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의 상승으로 인해 임금이 상승하면서 소비자 지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 증가로 인한 수요 상승에 따른 기업의 생산 활동 증가와 이로 인한 취업 기회 확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인플레이션의 변화가 경제의 여러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기저효과의 사례입니다.

      또 다른 예로는 세제정책의 변경이 있을 때도 기저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세율의 인상으로 인해 고소득자의 소득이 감소하면, 고소득자의 소비가 줄어들어 경제 활동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 감소로 인한 기업 매출 감소, 생산량 축소 등의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저효과는 다양한 경제 현상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상황과 변수에 따라 다양한 사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란 경제지표를 평가할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결과 차이가 큰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코로나 시점에 영화관람 관객수가 현저하게 떨어졌다가, 위드 코로나 시점에 관객수 회복이 어느정도 되면서

      기저효과로 인해 상대적으로 관객수가 증가한 사례를 들때 기저효과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라는 단어는 기저효과는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전년의 경제 지표가 낮아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올해 경제 지표가 작년보다 10% 증가했다면, 전년 대비 증가율은 100%가 된다. 그런데 작년 경제 지표가 전년보다 50% 감소했다면, 올해 경제 지표가 작년보다 10% 증가해도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0%가 된다. 즉, 전년의 경제 지표가 낮을수록 올해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기저효과라고 한다.

      기저효과는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기저효과가 크면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실제 경제 성장률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기저효과가 작으면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실제 경제 성장률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경제 지표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해석할 때는 기저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는 이미 기 낮을 저 의 의미로, 지표를 비교할 때 저번 지표가 너무 낮아서 이번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아보이는 효과입니다.

      예를 들어 물가상승률 같은 경우 전년동월과 비교하는데 작년 11월이 어떤 이유로 유난히 낮아서, 올해 11월이 절대적으로 높은게 아닌데, 상대적으로 작년 11월하고 비교할때 높게 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 효과란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이 되는 시점과 비교해야 하는 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어제 내가 손해를 100만원어치 봐서 속상한데, 오늘은 1만원어치 이득을 보게 됨으로 매우 장사를 잘 한 것 처럼 느껴지는 것이 기저효과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