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어떠한 방법을 써도 미분양이 된다면 결국 분양가 할인혜택을 줄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기존 수분양자들에게 거센 반발이 있을수는 있습니다. 같은 주택에 대해서 더 비싸게 입주한 경우가 되기 때문입니다. 건설사 측에서도 경품이나 베란다 확정 서비스등을 주로 주며, 분양가 할인은 최후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분양가를 내려서 분양하는것이 쉬운것이 아닙니다. 애초에 그 분양가에 맞춰서 대출도 실행했을 것이고 그에 맞춰서 분담금이라든지 개발에 관련된 수익성 분석을 모두 마치고 사업진행에 이르게 됩니다. 그렇기에 분양가를 내리기 보다는 혜택을 많이 주는쪽으로 진행하다가 마지막에는 할인 분양을 하기 때문에 기존 조합원이라든지 최초 분양받은 사람의 경우 가격이 높은 상태로 분양을 받고 추후에 할인분양받아 들어온사람들이 더 현명하다고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유경제사회에서 가격이 올라가면 누구나 좋아할 순 있지만 투자라는 것은 누가 지켜주지 않습니다. 비싸다고 생각되면 투자를 안해야하는게 맞지 비싸게 분양받아 할인분양하게 될 경우 고점에 물려있는것과 크게다를바 없습니다. 비싼가격에 주식을 사거나 물건을 샀다고 해서 가격이 할인들어가 싸진다고 어느 누구도 그 자산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시장은 거시경제 여건과 미 시기 일대일 대응하며 움직이지는 않으나 최근 주택가격의 변화는 급격한 금리 변동에 기임함. 금리가 오르면 주택구매자의 부담이 커지고, 대출이 줄어들어 주택수요가 감소할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주택구매자의 부담이 줄어들고 대출이 늘어나 주택수요가 증가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방향성에 따라 주택구매 심리가 움직이면서 가격 변동성이 높아질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주택시장 공급여건도 분양가에 영향을 줍니다. 공급량이 많으면 분양가가 낮아지고 공급량이 적으면 분양가가 높아집니다. 최근 서울에서는 대형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량 증가는 수도권 전체적인 공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와 기본형 건축비 인상등으로 인해 분양가 상승 압력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