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에서 왜 화폐로만 거래를 하는 것인가요?
무역에서 왜 화폐로만 거래를 하는 것인가요?
최근에 연인이라는 드라마를 보는데...거기서는 은괴를 무역에 사용하더라구요.
전세계 화폐가 틀린데...이런 상황에 왜 은괴 같은 광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인가요?
옛날엔 사용했었는데....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화폐(신용장, 어음 등)를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물물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오늘날에 이러한 원시적 물물교환은 무역거래에서 볼 수 없습니다. 오늘날에는 수출과 수입에 따른 대금결제를 그에 상응하는 수입 또는 수출로 상계하는 구상무역(Compensation Trade)이 있습니다. 이것은 수출자가 수출한 금액에 대해 당해 수입자로부터 같은금액을 수입하는 방법이다. 이밖에 Buy-Back 방식도 있습니다.
현대무역에서는 기축통화인 달러와 금융전산망이 잘 이루어져 있고, 결제할 수 있는 화폐수단이 많기 때문에 물물교환방식의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화폐는 교환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화폐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가치의 물품을 교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폐는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무역거래시 일반적으로 화폐로 거래를 하지만 경우에 따라 물품으로 교환하는 구상무역의 형태도 존재하며, 구상무역이란 대금결제시 화폐가 사용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이용되는 경우를 총칭하는 것으로, 바터무역(barter trade)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무역의 형태는 일종의 물물교환으로 현재도 드물게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대하여 전세계 무역의 대부분 usd로 결제되는 바 이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화폐이기 때문입니다. 물품의 경우 이에 대하여 가격 책정이 어렵고, 추가적으로 물품에 대한 가품위험 등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USD로 결제하면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해결되기에 보통은 USD로 거래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신 사항대로 수출입의 연계에 따라 화폐가 아닌 물품등을 통해 하는 무역 유형도 있으니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출과 수입이 상호 연계된 모든 형태의 무역거래, 즉 특정국가에 수출하려면 동 국가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수입을 해야 하는 무역거래를 총칭하여 연계무역(counter trade)이라 한다. 이러한 연계무역은 1960 년대부터 사회주의국가와 자본주의 국가 간에 심한 무역불균형을 해소할 목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의 요구에 따라 시작되었다. 연계무역은 물물교환, 구상무역, 대응구매, 산업협력, 상계무역, 각서무역으로 세분된다.
(1) 물물교환
물물교환(barter trade)은 물품을 직접 교환하는 가장 기본적인 거래형태이다. 따라서 서로 대응되는 물품을 상호교환하므로 외환거래가 발생하지 않으며, 하나의 계약서로 거래가 성립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물품의 인수도가 거의 동시 또는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다.
(2) 구상무역
구상무역(compensation trade)은 수출입 당사국이 무역균형을 유지할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출국은 수입국으로부터 취득하는 물품대금에 상당하는 금액만큼 다시 당해 수입국으로부터 수입해야 하는 거래조건을 말한다. 이 방식도 하나의 계약서로 거래가 성립하며, 동시발행신용장(back to back credit), 기탁신용장(Escrow Credit), 토마스신용장(Tomas credit) 등과 같은 특수신용장으로 대금결제가 이루어진다. 대응수입 이행기간은 3 년 이하이며, 대응수입의무를 제 3 국으로 전가할 수 있는데, 이를 삼각구상무역(triangular compensation trade)이라 한다.
(3) 대응구매
대응구매(counter purchase)는 구상무역과 달리 수출하는 대가로 수입해야 하는 금액이 동일할 필요는 없고 일정액 또는 일정비율의 수입의무만 지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방식은 특정국간의 수출입이 연계된다는 점에서는 구상무역과 유사하나, 수출에 따른 대응수입은 별도의 거래로 보아 두 개의 별도 계약서로 이행되며, 신용장도 두 개의 일반신용장이 발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4) 산업협력
산업협력(industrial cooperation)은 다시 제품환매방식(product buy back)과 합작투자(joint venture)로 구분된다. 제품환매방식은 플랜트, 장비, 기술 등을 수출하고 거기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일정량 또는 일정비율 수입하기로 하는 거래를 말한다. 한편 해외 공장에 자본을 투자하고, 그곳으로부터 생산된 물품을 다시 수입하는 경우 산업협력에 의한 합작투자라고 한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화폐를 사용하는 이유는 편의성 , 안정성 과 실용적인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화폐는 은행등의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전송 및 수령할 수 있으며, 디지털 뱅킹 기술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주요 화폐들(예를 들면 미국 달러, 유로, 일본 엔 등)은 글로벌 경제에서 널리 수용되고 신뢰받는 화폐로 역사적인 신뢰를 가지고 잇는 기축통화의 역할을 합니다. 화폐는 국제적으로 매우 유동적이며 거래하기 쉽습니다. 거래 당사자가 거래 시점에 어떤 화폐로 거래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으므로 환율로도 예측이 가능하게 합니다.
금이나 은은 가치가 불안정하며 신뢰성이 부족하고 광물의 물리적 형태로 거래하기가 불편하며 운반과 보관에 관련된 비용과 위험이 따르기 때문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은과같은 화폐를 통한 거래보다는 각 국가의 화폐단위를 통한 거래가 많은데 과거에는 은본위제 금본위제 등에 따른 거래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은본위제(Silver Standard)는 한 나라의 화폐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기준을 은으로 정하고 그 기초가 되는 화폐, 즉 본위 화폐를 은화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금본위제 등에 대한 내용은 꽤 흥미로운 편인데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B%B3%B8%EC%9C%84%EC%A0%9C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인 방법이 송금의 방법인 화폐 거래입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물물교환 방식이나 청산결제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계약 시 은괴 등의 광물로 거래하는 경우라면 사용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결제의 이행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대부분 화폐를 통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과거에는 무역거래시 물물교환 방식으로 하거나 또는 가치있는 수단인 금이나 은으로 진행했었습니다. 하지만 금과 은으로 하기에는 해당 물품을 지니기에 힘들고 운송하면서 도난 분실 등 여러가지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다만, 화폐가 등장하면서 교환을 단순화 시키기게 되었는데 현재 기축통화는 미 달러다보니 해당 통화로 거래를 하는 것이 편의성 등 여러가지를 고려할때 가장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제로 무역거래시 대금을 직접 수령하지 않고 은행간 통신망인 스위프트를 통해서 받기 때문에 이러한 편리성에 의해 화폐에 의한 결제가 대부분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