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구 매매가격을알고 싶은데 감정가 계산하는 방법을알고싶습니다
다가구를 가지고있는데 매매 가격을 알고싶습니다매매가격을 어떤기준으로 계산을 하는지 알고싶습니다 또감정가 계산하는 기준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다가구 주택은 단독주택으로서 매매 사례가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가격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보통은 인근의 유사한 주택 매매사례를 참고하여 거래하는 경우가 많은데, 감정평가를 하게되면 감정평가사의 재량이 반영되어 좀 더 유리한 가격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감정평가시 토지는 공시지가기준법에 의해 평가되고 건물은 원가법에 의해 평가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다가구 매매가를 검색하는 방법은 국토부의 실거래가를 검색하시고 비슷한 평수로가격대를 유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 부동산을 방문하여 상담해 보면 개략적인 가격을 추산할 수 있겠지요
그리고 감정평가능 전문적인 분야로 감정평가 요소는 실거래가 공시시가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 주변지역의 시세 등을 고려하여 감정평가 금액을 결정합니다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다가구 다세대의 가격은 토지가격과 임대수익 등을 역으로 계산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 옆 길이라 하더라도 토지 가격은 천차만별이라 주변의 비슷한 입지의 토지가격을 계산하고, 임대수익을 역으로 계산하여 수익률 적인 측면에서 내 건물의 가치를 결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감정가에 대해서는 감정평가방식이 나와는 있지만 실제 개인이 이를 대입하여 산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에 따라 감정평가사를 통해 감정가를 책정하는게 일반적이고, 매물의 시세의 경우는 보통 매도자가 산정해 제공하게 되는데 , 지역내 시세등을 기준으로 시설물상태등에 따라 가격이 상이할수 있습니다. 보통은 다가구의 경우 건물과 토지를 별개로 보기 떄문에 둘을 합쳐 산정하게 되는데, 대부분은 각각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적인 매물가격을 산정하게 됩니다. 공시가격의 경우 표준주택가격 기준으로 60~65%사이므로 실제 공시지가 10억이라면 매매가격은 16~17억사이로 정하는게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