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분양 홍보하는 사람들 수수료
유튜브에 보면 경기도 광주 같은곳에서
단독주택들 찍어서 분양홍보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되는데요 이런 사람들은 분양 한건
처리하면 본인들은 수수료로 얼마씩 가져가나요?
보통 분양가격의 몇퍼센트를 가져가는것인지 궁금해요
영상찍고 편집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거 같은데
꾸준히들도 찍어서 올리더라구요
문득 궁금해져 질문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건 마다 분양대행사의 수수료는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인기분양 물건의 경우 대행사의 노력없이도 판매가 잘되기 때문에 수수료가 낮으나, 분양이 잘 되지 않는 지역이나 매물에 대해서는 분양대행 수수료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빌라나 단독주택등은 수요가 적기 때문에 높은 분양계약에 따른 수수료지급이 많습니다. 다만 질문처럼 유튜브로 홍보하는 경우에 직접 계약을 체결시켜서 분양수수료를 받을수도 있지만 단순홍보비만을 받고 광고성 영상을 찍는 것일수도 있기에 정확한 상황까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양대행의 경우 기본수수료 3~7%(분양가기준), 성공보수로써 분양전체물량 중 일정비율 이상 분양시 초과성과에 대한 보상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보면 경기도 광주 같은곳에서
단독주택들 찍어서 분양홍보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되는데요 이런 사람들은 분양 한건
처리하면 본인들은 수수료로 얼마씩 가져가나요?
==> 이러한 경우 분양업체와 건축주간 협의에 따라 결정되는 만큼 다양한 수수료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 건당 1000-2000만원 정도 수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시장 특성상 상가만 퍼센트로 책정되어 있고
주택은 퍼센트가 아닌 정찰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기있는 아파트는 수수료 100~200정도
단독주택이나 타운하우스는 최소 800~ 2000까지 다양합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경기도 광주, 양평, 용인 등 수도권 외곽의 단독주택 분양 영상들이 많습니다
이 영상들을 찍는 사람들은 대부분 부동산 중개인, 시행사 직원, 혹은 마케팅 대행사 소속일 가능성이 큽니다
촬영 장비, 편집, 썸네일 제작 등 포함하면 영상 1개당 최소 10만~50만 원 이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유튜버들이 직접 촬영/편집하며 비용을 절감합니다
한 달에 2~3건만 계약 성사돼도 수익이 괜찮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콘텐츠 제작을 하는거 같습니다
,중개 수수료 분양가의 0.5%~0.9%
,분양 대행 수수료 분양가의 1%천만 원 가능)
수수료는 서로 협의를 하겠지만 보통 이런 수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공인중개사가 올릴 경우는 법정요율에 따라서 중개수수료를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 분양대행사에서 올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분양대행업무를 하게 되면 회사처럼 조직적으로 일을 하고 담당부서에서 부동산 영상을 찍어서 올리고 분양홍보를 하게 되는데 그렇게 분양대행업체에 소속이 된 경우는 기본급 + 수당제로 운영이 되게 됩니다.
그외 유튜버 인플루언서등에 의뢰를 하게 될 경우 광고비를 지급을 하고 분양홍보를 하는등 다양한 형식의 보상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유튜브에서 단독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분양 영상을 올리며 홍보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부동산 중개업을 하기도 하지만, 대다수가 시행사나 분양대행사와 연결된 마케팅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영상만 찍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매수자를 연결해 계약이 성사되면 수수료(중개보수 또는 대행 수수료)를 받게 됩니다.
보통 아파트 분양과 달리 단독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분양은 시행사에서 자체적으로 광고비를 쓰기보다는 대행사나 개인 마케터에게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주고 판매를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지급되는 금액은 건당 일정액으로 정해지기도 하고, 분양가의 일정 퍼센트로 정해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분양가의 1%에서 3% 정도가 수수료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고, 좀 분양이 안될것 같으면, 건당 금액을 높게 책정해 놓고 계약되는대로 가져가기도 합니다.
영상 제작 비용은 유튜버 본인이 직접 감당하지만, 한 건만 성사돼도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수수료가 들어오기 때문에 충분히 비용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꾸준히 영상을 올리며 홍보를 이어가는 것이고, 구독자 수보다 실제로 계약으로 이어지게끔 하기 위해서 실제로 연락해보면, 온갖 감언이설로 꼬드기는 경우가 많지요.
이런 경우 진짜 물건이 좋아서라기보다는 그만큼 대행 수수료가 높기 때문이므로, 속지 말고 꼼꼼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과 같이 유튜브에서 단독주택 분양 홍보하는 사람들은 보통 분양가의 0.3-0.5% 수준의 중개 수수료를 받습니다. 즉 주택 가격에 따라 1건에 수백만원에 달하는 경우도 있으며 위 수수료율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단독주택 분양이 성사되면 분영사 또는 건축주로부터 분양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받습니다.
보통 1건 당 분양가의 2~5% 수준의 수수료를 받으며 어떤 유튜버는 협의에 따라 정액제로 받기도 합니다.
유튜브 운영자가 직접 땅주인이나 건축주와 계약을 맺고 영상 콘텐츠 제작 및 광고 대행비를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분양이 안되더라도 기본 촬영, 편집 비용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유튜브에서 분양 홍보하는 사람들은 중개인, 홍보대행 성격으로 활동하며 건당 일정 비율 수수료를 받습니다. 보통 분양가는 수억 단위이므로 1~2%받아도 수백만원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