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근육이 없이 자주걸으면 관절염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무릎 근육이 매우 부족한 사람이 자주걸으면 관절에 무리가 가서 관절염, 퇴행? 무릎이닳는 등 이런게 생길수있나요?
무릎관절염은 xray로 알수잇나요?
무릎근육생성에 좋은방법들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을 잡아주는 근육은 대표적으로 허벅지 근육인 대퇴사두근입니다
이 근육들이 부족하거나 근력이 낮으면 무릎을 잡아주는 안정성이 떨어지기에 무릎 관절에는 무리하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무리하게 영향을 주는경우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또는 연골이 닳는경우도 생깁니다
무릎의 관절염은 x ray로도 확인이가능하며
좀 더 정밀한 검사법은 mri가 있습니다
무릎을 잡아주는 대표적인 근육은 대퇴사두근이며
노인분들을 기준으로 하기좋은 운동은
맨 몸으로 레그익스텐션, Q setting 운동법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근육이 없는데 너무 무리해서 걷는경우 관절에 지속적인 압박과 스트레스를 줄수있기때문에 주의하는것이 필요한데요 평소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을 통해서 무릎관절에 안정성을 키우는것이 필요합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근육이 약한 상태에서 많이 걸으면 충격을 관절이 고스란히 받아 퇴행성 변화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요 무릎관절염은 xray로 어느정도 확인 가능하고 관절 간격이 좁아진다면 진행된 상태로 볼수 있습니다. 레그 익스텐션, 힙브릿지, 계단 오르기 같은 운동이 무릎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적당히 걸어줘야 근육도 생기고 골밀도도 튼튼해 집니다.
x-ray 간단한 관절염 stage 파악 가능하나, 보다 정밀 검사는 MRI 입니다
아래 사진 참고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1.근육이 적으면 관절이 불안정해서 무릎 관절염이 더 생기기 쉬운건 맞지만 그렇다고 30대에서 관절염이 생길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무릎에 좋지 않은 무릎을 꾸부리고 운동이나 노동을 많이 하는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야 생기는 문제입니다.
2.무릎 골관절염은 X-ray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3.근육을 생성하는 방법은 많이들 헬스장에서 하는 웨이트트레이닝과 다르지 않습니다.
무릎과 관련이 되어있는 근육은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이며 이 두개 근육을 강화시키는 스쿼트, 런지, 레그 컬 이런 운동들을 해주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나이가 드신 분이 아닌 젊으며 활동량이 적은 분이 걷기를 시작하신다면 오히려 근육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걷기를 추천드리며, 그 이후 빠른 걷기 -> 달리기 순으로 운동량을 늘리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위와같은 과정에서 뻐근한 근육통이 아닌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 내원을 추천드립니다.
관절염은 엑스레이와 혈액검사로 주로 진행을 합니다.
건강한 삶이 회복되길 응원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