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에탄올은 어떻게 세균을 소독하고 없앨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얀도화지입니다.

에탄올 소독제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에탄올은 어떻게 세균을 소독하고 없앨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에탄올(Ethanol)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소독하고 제거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입니다. 이 화합물의 효과는 그것이 세포막의 지질 구성을 변형시키고, 세포 내 단백질의 구조를 변성(denaturation)시키는 능력에 기인합니다. 에탄올은 특히 물과 혼합될 때 이러한 소독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에탄올은 세균의 세포막을 침투하여 세포막의 구조적 무결성을 파괴합니다. 세균의 세포막은 인지질(phospholipids)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이 지질층은 세포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에탄올이 세포막에 작용하면, 지질 분자들의 배열이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세포 내용물이 누출됩니다.
    더불어, 에탄올은 세포 내 단백질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칩니다.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데, 에탄올은 단백질의 수소 결합과 하이드로포빅 결합(hydrophobic bonds)을 파괴합니다. 이로 인해 단백질이 변성되며, 세포의 대사 과정이 중단되어 세포가 사멸하게 됩니다.

    에탄올의 농도는 그 소독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60%에서 80% 사이의 농도가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범위의 농도에서 에탄올은 최적의 지질 용해력과 단백질 변성 능력을 발휘하며, 이는 세포막과 세포 내 단백질에 동시에 작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사멸시킵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에탄올은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의료 기관, 실험실,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에탄올이 생명 공학 분야 뿐만 아니라 공공 보건 분야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1명 평가
  • 에탄올은 세균의 지질 성분으로 구성된 세포막을 녹여 파괴합니다.

    세포막은 세포 내부를 보호하고 물질 교환을 담당하는 기관인데, 이것이 파괴되면 세균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기능을 상실하고 죽게 되는 것입니다.

    또 에탄올은 세균의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켜 기능을 잃게 만들기도 합니다, 단백질은 세균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로, 이것이 변성되면 세균은 생명 활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리고 에탄올은 세균 세포 내부의 수분을 빼앗아 탈수를 일으킵니다. 세포 내 농도가 외부보다 높아지면 삼투압 작용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 세균이 죽게 됩니다.

    하지만 에탄올의 소독 효과는 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70~75%의 에탄올 농도가 가장 효과적인 살균력을 보입니다. 이 농도에서는 에탄올이 세균 세포 내부로 침투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세포막을 파괴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100% 순수한 에탄올은 세균의 표면 단백질을 너무 빠르게 응고시켜 단단한 막을 만들어 버립니다. 이 경우 에탄올이 세포 내부까지 침투하지 못해 살균 효과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에탄올은 삼투압이 강하면서 동시에 지방을 녹이는 성질이 있어, 세균이나 다른 세포에 접촉하게 되면, 막을 뚫고 그 내부로 침입해 세포를 터뜨리고, 내부에 있던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나 유전물질을 녹여버리는 작용을 합니다. 다만, 섬유로 되어 있는 막이 아닌, '세포벽' 이 있는 세포구조는 위 작용이 쉽게 일어나기 어려운데요. 대표적으로 곰팡이균, 그리고 식물의 경우는 세포 구조 상 세포막 외에도 세포벽이 같이 존재해 에탄올을 포함한 알코올에 대한 살균에 저항성을 보입니다.

    첨언하자면, 인간은 세포벽이 없어 알코올에 취약해야하나, 동물 중 매우 희귀하게 에탄올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분비할 수 있는 동물입니다. 이 때문에 위장관으로 들어온 에탄올을 간에서 해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알코올은 에탄올(에틸알코올 C5H5OH)인데요, 이 에탄올은 삼투능력이 크기 때문에 세균 세포 표면의 원형질막을 잘 뚫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때 에탄올이 세균 막을 뚫고 들어가 세균의 단백질을 응고시켜 죽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에탄올은 인지질층과 단백질로 구성된 외피를 보유한 바이러스에 효과가 큰데요, 에탄올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여서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가 외부에서 죽거나, 운 좋게 숙주에 들어간다 해도 세포에 침투해 증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 에탄올은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소독 효과를 발휘합니다. 세포막이 손상되면 세균 내부의 단백질과 효소가 변성되어 세균이 생존할 수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에탄올은 세균을 소독하는 데 효과적인 물질로, 주로 60%에서 90% 농도로 사용됩니다. 에탄올은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변성시켜 세균을 죽입니다. 세포막이 손상되면 세균 내부의 물질이 유출되고, 단백질 변성으로 인해 세균의 생리적 기능이 저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