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레알무한한데이지
레알무한한데이지

사위 밑으로 의료보험 가입할수 있을까요?

올해 57세 남성이며 가족으로는 부인과 아들이 있으며 출가한 딸이 있습니다.

저희 식구 모두 직장이 없으며 출가한 딸이 직장인이라 딸 밑으로 보험이 되어 있었는데 딸이 실직하면서 보험이 없어 졌습니다.이 경우 직장 다니는 사위 밑으로 보험을 할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사위라면 질문자님과 질문자님의 부인은 피부양자 대상이 되지만 아들은 지역가입자로 따로 등록해야 합니다. 그리고 재산요건과 소득요건이 필요하겠습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대상은 이렇습니다. 소득,관계, 동거여부를 충족해야 하는데요. 부양은 직장가입자의 배우자, 직계존속(조부모,외조부모), 직계비속(자녀,손자녀), 형제, 자매, 배우자의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까지 피부양자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여기 형제 자매의 피부양자가 되려면 미혼, 30세미만 또는 65세 이상이며, 장애인, 국가유공자 또는 보훈대상자 상이자, 건강보험 피부양자가 되려면 해당연도의 합산소득이 연 2천만원 이하이며 만약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사업소득 연간 합계액이 500만원이하여야 하고 사업자 등록은 있어나 사업소득이 없다면 폐업사실 확인증이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직계존비속과 배우자만 등록 가능하며 사위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딸이 재취업하거나 직장에 다니면 피부양자로 등록할 수 있지만 딸이 실직 상태라면 사위 밑으로 보험 가입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장인 장모도 조건이 충족되면 사위의 밑으로 피부양자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재산이나 다른소득의 금액이 피부양자로 등록함에 충족이 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아쉽게도, 건강보험은 직계 가족만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합니다.

    사위 밑으로는 등록이 불가하므로 지역가입자로 전환해야 합니다.

    다만, 딸이 재취업하면 딸 밑으로는 다시 피부양자 등록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아..따님이 직장을 퇴사하면서 보험을 다 해지하신 건가요? 너무 당연히 사위분을 계약자로 보험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계약자는 사위분으로 하시고 피보험자로 가족분들 그리고 보험료 납부자로 사위로 하게 되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편적으로는 직장에 다니는 사위에게 건강보험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피부양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직계존비속과 배우자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나를 기준으로 나의 부모님과 나의 자녀, 그리고 배우자만 가능합니다. 만약 이러한 피부양자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우리 딸에게 등록이 되어야 하나, 지금 딸이 실직이 되었다고 하니, 이러한 부분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현행 건강보험 제도상 사위의 건강보험에 장인이나 장모가 피부양자로 등록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건강보험의 피부양자 등록은 직계혈족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사위나 며느리처럼 인척 관계에 있는 사람의 부모는 피부양자 등록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사위와 장인은 혈연관계가 아니므로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대안으로는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역가입자는 직장이 없는 개인이 주민등록등본 기준 세대 단위로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며, 소득과 재산에 따라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만약 딸이 추후 다시 직장을 갖게 된다면, 그때 다시 딸의 피부양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정리하면, 현재로서는 사위 밑으로 피부양자 등록은 제도상 불가능하며, 지역가입자로의 전환이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건강보험공단(1577-1000) 또는 가까운 지사에 방문하시면 보다 구체적인 안내와 보험료 산정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