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도도한쭈꾸미243
도도한쭈꾸미243
21.11.08

가짜프리랜서 아닌가요? (연차수당 미지급 문의드립니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사업장에는 하나의 사업자로 2가지 업무를 수행하고있습니다.

설치업무와 a/s 업무인데 저는 a/s 업무에 소속되어있습니다

사업자는 하나의 사업자입니다 (사업자등록증 같이 사용)

본사가 따로 존재하고 지역별로 센터가 있는데 저희는 그중 하나의 사업자로 본사와 계약을 했습니다

소속인원은 설치업무(사장, 직원1,직원2,직원3 /동일사업자대표이름의 다른통장으로 임금지급)

a/s업무 ( 본인, 센타장, 직원1, 직원2, 직원) 입니다.

4대보험은 사장(따로), 본인, 센타장 이렇게 들어있는걸로 압니다

보통 연차 및 연차수당이 근로기준법상 5인미만 사업장에는 적용되지않는다고는 알고있는데

저와 센타장을 제외한 나머지인원이 프리랜서가 아닌거같아서 문의드립니다

첫째, 프리랜서는 독단적으로 수행하며 회사의 관리를 받지않는다고 알고있는데, 본사에서 사업자로 자재를 출고하여 직원들이 사무실에서 자재를 가져가 a/s를 수행하며 전반적인 관리는 저와 센타장이 합니다.

a/s업무는 제가 직원별로 일정을 잡아주면 이 직원들이 사무실에서 자재를 받아 a/s업무를 수행한 후 거기에 따른 결과를 사무실로 와서 저에게 제출합니다

일정을 잡아준다는 것은 하루 1-2개가아니라 오전9시부터 오후 6시,7시 까지 이렇게 일정을 잡아주고있습니다. 센타장은 직원들에게 매주 몇번 사무실로 들어오라고 지시하며 ,지키지 않으면 왜 안지키냐고 하고, as 수리비또한 센타장 개인명의의 통장으로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독촉건이 있을경우 빨리 처리하라고 전달하며, 센타장이 전반적인 업무지시를 하는 상황입니다. 이정도면 구체적인 업무지시를 하는 사항 아닌가요? 그리고 as 소속 직원이 설치업무도 병행하기도 하는 상황입니다설치팀 같은 경우에도 사장과 함께 일하거나 사장이 설치할 곳을 정해 업무를 나눠주는 구조입니다. 임금 또한 사장이 지급합니다 ( 사장이 지급하는 이 통장은 사업자 명의의 통장입니다)

둘째, 프리랜서일 경우 3,3%의 세금을 뗀다고 알고있는데 직원들 월급명세서엔 3.3%를 떼지만 실제로 국세청에 신고되지않습니다. 이럴 경우 프리랜서가 아닌 근로자로 보아도 무방하지 않나요?

셋째,, 사업자 명의통장이 아닌 대표자 개인명의의 통장으로 a/s 비용을 받고있습니다. 이것 또한 차명계좌로 신고가능하다고 알고있는데 가능한 점 맞는지요

넷째, 처음 근로시작하게 된 사업장이 주소를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이전한 사업장 사무실에선 별도의 칸막이를 만들어 그 안에 침대 및 옷장, 세탁기 등을 사용하며 실거주를 합니다. 전입신고는 되어있긴 한데 본인 근무시간 (오전 9시-오후5시50분) 에 고기를 구워먹거나 티비를 보거나 하는 사항도 신고하능한가요?

다섯째, 사업자 명의의 통장으로 거래되는 금액은 당연히 세금신고가 되고있으나, a/s 업무로 인한 현금매출에 대해서는 현금매출전체를 신고하지않고 일부분만 신고하는거 같은데 이부분도 신고하능한가요?

제가 알고싶은거는 문의드린 신고여부와 소속직원들의 프리랜서 여부입니다

연차 및 연차수당에 관해서는 5인미만이라 해당되지않는다고 적용안해도 된다고 하지만

아무리봐도 제가 보기엔프리랜서가 아닌 정해진 업무를 수행하는 저와 똑같은 상시근로자로 생각되는데 이부분 상시근로자로 인정된다면 미지급된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