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조원의 임금협상을 개별로 요청할 수 있나요?
과반 노조가 있는데
노조와 사측의 임금협약 안따르고
비노조원이 개별로 사측과 협의해서 임금 인상률을 정 할 수 있나요?
비노조원은 노조 지부장을 선출하는데 관여하지 않았는데 노조의 결정을 따라야하는데 부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비조합원은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으니 개별적으로 사측과 협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사측이 비조합원에게 더 높은 임금을 지급한다면 부당노동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비노조원은 개별적으로 협상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체결한 단체협약은 해당 노동조합의 조합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비조합원인 근로자와 사용자의 합의가 있다면 임금 인상률을 개별적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노동조합이 교섭을 요구하는 경우 사측에서 거부할 수 없습니다. 거부하는 경우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할 수 있지만
비조합원인 경우 임금인상에 대한 요청은 할 수 있겠지만 회사에서 협상을 해야할 법상의무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
과반 노조가 있는데
노조와 사측의 임금협약 안따르고
비노조원이 개별로 사측과 협의해서 임금 인상률을 정 할 수 있나요?
비노조원은 노조 지부장을 선출하는데 관여하지 않았는데 노조의 결정을 따라야하는데 부당합니다
-> 임금협약 문의로 사료되오며,
과반노조라고 밝혀주신 사항을 보면, 노동조합법상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에 관한 규정을 검토해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이는 단순히 적용 된다 되지 않는다라고 답변드릴 성질의 것은 아니며, 별도의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개별적인 근로자와의 임금협상은 사용자와 근로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기하여 가능한 것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