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도에 파상풍 1번 맞았는데 또 다시 맞아야할까요
무슨 핀에 찔렸는데 녹슨건지는 모르겠습니다 딱히 피는 안나고 따끔거렷고 그다음날에는 따끔거림이 사라지긴했습니다 피 안나면 감염될 경우가 적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핀에찔리고나서 피가나지않았다면 깊은 상처는아닐수있는데요 녹슨핀이였다면 파상풍과같은 감염을 의심해볼수있는데만약 상처부위가빨갛게 올라오거나 붓기가생긴다면 병원에서 검사를받아보시고 적절한치료를받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단순히 찔린 정도라면 파상풍균에 감염이 될 위험이 낮긴 하겠습니다. 또한 16년도에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은 사실이 있다면 오염된 상처가 발생한 것은 아닌 만큼 예방접종의 효과를 10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핀에 찔린 정도로 파상풍 접종을 꼭 맞아야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피가 나지 않았다면 감염 위험은 낮지만 녹슨 핀이라면 파상풍 위험이 있을 수 있어요 상처부위를 깨끗이 소독하고 최근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은 적이 없다면 병원에서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로 발적, 부종, 열감 등이 나타나니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세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파상풍 예방접종은 대부분 10년 주기로 권장됩니다. 질문자분께서 2016년에 접종을 받으셨다면, 접종 후 경과한 시간이 비교적 짧은 편입니다. 그러나 특정한 상황, 특히 녹슨 물체에 찔린 경우에는 추가 접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상처에 피가 나지 않았고 따끔거림이 빠르게 사라졌다고 하더라도, 파상풍균은 상처의 크기와 출혈 여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습니다. 파상풍의 예방을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추가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파상풍주사의 기간은 10년입니다. 2016년도에 주사를 맞으셨다면, 올해는 주사를 맞지 않으셔도 되겠지만 경우에 따라 필요할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 시 상담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녹슨 핀에 찔려 피는 안나고 따끔거리는 증상만 있다면, 피부장벽이 완전히 뚫리지 않아 파상풍 감염 위험률은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녹슨 핀이라면 파상풍이 있을 순 있지만, 말씀드린것처럼 피가 나지 않았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추가적으로 2~3일이 지났음에도 증상이 없다면 더더욱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마지막으로 10년도 되지 않아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으셔서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피가 나지 않았더라도 녹슨 핀에 찔렸을 경우 감염의 위험은 존재하고 피가 나지 않았다고 해서 감염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감염의 위험은 상처의 깊이나 노출된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녹슨 핀은 파상풍을 일으킬 수 있고 세균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녹슨 물체에 찔렸을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통증이 계속되거나 발열이 동반된다면 감염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상처를 깨끗하게 세척해주시고 알콜이나 소독제로 소독하시는 것이 중요하며 파상풍 예방 접종이 5년 내에 안 되셨다면 파상풍 예방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파상풍 예방접종은 보통 10년마다 한 번씩 권장됩니다. 2016년에 한 번 맞으셨다면, 그때부터 10년이 경과하지 않았으므로 아직 추가로 맞을 필요는 없습니다만 상처가 지나치게 크거나 오염 되었을 경우 5년을 기준으로 보기도 합니다. 상처가 깊고, 피가 나거나 외부에서 먼지가 묻은, 특히 녹슨 물체에 찔렸을 때 감염의 위험이 높아져요
따끔거림이 있었던 부분에 대해 걱정이 되실 수 있지만, 피가 나지 않았고, 상처가 깊지 않다면 감염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상풍의 잠복기가 길어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처가 깊고 감염의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면 병원에서 진료 보시고 파상풍 접종 관련 상의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결론적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 상처를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시 추가적인 예방접종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