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규칙에 있는 내용은 부당해도 꼭 지켜야하는 건가요?
취업규칙에 있는 내용은 부당하거나 근로기준법에 위반되는 내용이라도 행해야하나요?
취업규칙이 근로기준법 및 여타 다른법 보다 우선순위에 있나요?
1. 근무시간 08:30~17:30분 까지
식사시간 12:30~13:30분 까지 라고 명시되어있고
근무시작전 미리 출근하여 작업준비 및 조회 하여야하고, 퇴근 시간 이후 작업정리정돈 및 인수인계 하고 그 시간은 근무로 포함하지 않는다고 되어있습니다.
2. 주휴일에 관하여는 "일요일 및 국가가 지정한 공휴일로 한다(단 대체휴일, 임시휴업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회사가 바쁠경우 주휴일날 출근하고 휴일수당을 지급한다" 라는 조항에서
주휴일 돈은 지급하지만 강제출근이 가능한가요?
(주 52시간은 이미 초과)
3. 퇴직금부분 "일용직,임시직,촉탁,수습기간으로 근무 후 정직원전환시 사유를 불문하고 근속년수에 산입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아웃소싱(파견직)의 정직원 전환 시 근속년수를 인정 해줄 수 없다고 합니다. 이게 맞는건가요?
위 1,2,3번의 경우 위반되는 근로기준법 및 각종 법안은 어떤것이 있으며 어떻게 요구하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회사 및 규정에 따라 출근시간 이전에 출근하여 일을 하였다면 근로시간에 해당이 됩니다.
2. 휴일근로를 시키려면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3. 파견직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경우 채용시점부터 근속기간을 계산하는게 맞습니다.
4.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취업규칙이 근로기준법에 배치될 경우 무효입니다.
‘그 시간은 근무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부분은 무효입니다.
주 52시간 초과시 불법이므로 출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른 회사 소속으로 파견직으로 근무했다면 그 기간을 근속연수에 포함하지 않아도 불법이 아닙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령에 미달하는 취업규칙의 규정은 효력이 없습니다.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조기출근 및 연장근로는 근로기준법 상 연장근로에 해당하므로 연장근로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휴일근로는 당사자의 동의로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강제할 수 없습니다. 다만 근로계약으로 포괄적인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이에 따르게 됩니다.
파견근로자를 정직원으로 고용하는 경우 이전 사업장에서의 근속기간은 퇴직금 산정 시 산입하지 않더라도 법위반으로 볼 수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0. 법령을 위반한 취업규칙은 그 부분에 관하여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1. 실근로에 부수된 작업이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의무화되어 있으면, 이에 소요된 시간은 근로시간입니다.
2. 사용자는 휴일을 포함한 1주 52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시킬 수 없으며, 근로자의 동의없이 휴일근로를 시킬 수 없습니다.
3. 아웃소싱회사와 해당 회사는 서로 다른 회사이므로, 질문자님을 고용한 아웃소싱 회사에서의 소속된 근속기간을 해당회사의 근속기간에 포함할 수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