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6

우리나라 빈부격차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빈부격차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게 느껴집니다. 돈이 돈을버는 세상 이여~ 이말은 오래전 이야기죠~

한국의 빈부격차다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23.07.26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격차 심화 원인은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기도 합니다.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 직군에서 소득격차가 심하게 두드러집니다.

    또한 교육의 불평등이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갈수록 심해지는 계층 간 이동이 적어진다는 것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래 전 이야기지만 돈이 돈을 벌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지는 것이 맞습니다.


    돈의 양에 따라 양질의 교육량이 달라지며, 이를 통해 더 큰 돈을 벌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냐 없냐가 갈라지게 됩니다.


    또한 돈의 유무에 따라 재테크 가능 유무도 달라지며, 같은 재테크 성공이라도 시드(즉, 돈의 양) 에 따라 수익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옛말이지만 이 말보다 더 정확하게 우리나라 자본주의 사회를 표현하는 말은 없다고 개인적으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고용시장의 불안정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가가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가난에서 헤어날 수 없는 사회적 구조와 경제위기로 인한 중산층의 몰락도 빈부격차 확대에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급격한 경제성장을 우리나라는

    이루었고 이에 따라서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 차이도 커졌으며

    부의 재분배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빈부격차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의 차이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자산(돈, 토지, 지위)의 영향을 크게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재벌인 사람과 부모가 평범한 회사원인 사람이 똑같이 노력을 해도 소유하게 되는 재산은 크게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탁월한 재능과 엄청난 노력과 운이 따르지 않는다면 부모의 경제적 지위에서 크게 벗어나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고속성장기에 부가 소수에게 집중 된 부분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자산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상위층에게 부가 다시 한번 쏠렸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득수준이 교육 수준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서 빈부격차를 더욱 더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빈부격차 수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합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빈부격차가 큰 편에 해당하며, 특히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빈부격차가 상당히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GINI 계수는 약 0.355인 반면, 일본은 0.329, 독일은 0.295, 캐나다는 0.307 등 선진국들은 상대적으로 빈부격차가 낮게 나타납니다.

    빈부격차는 각 나라의 역사, 경제 구조, 사회적 요인 등에 따라 다양한 이유로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인으로는 우선 부실한 공교육이다. 현대 사회는 고도의 지식 사회로 많은 지식을 습득한 전문가와 지식이 비전문가 간의 임금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즉, 교육을 받은 수준에 따라서 소득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공교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여 소득수준에 따라 교육 수준의 차이가 나고 결국 이는 빈부격차로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두 번째 원인으로는 소득의 이동성이 줄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열심히 일을 하면 중산층이나 더 높은 계층으로 이동이 가능해야 하는데 예전만큼 그렇지 못하고 있고, 중산층도 오히려 하층으로 내려가기 쉬운 상황이다. 이는 즉, 빈곤층이 고착화되고 또한 이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확대된다고 결과를 초래한다고 생각한다. 세 번째로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인데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경기에 민감한데 일용직이나 임시직의 일거리가 먼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많이 개선됐지만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 복지지출이 많이 부족한 수준이기 때문에 요즘처럼 경기가 할 때 빈곤층의 심리적 불안감은 더욱 증대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