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영원히잠이없는도시락
영원히잠이없는도시락

바깥쪽 복사뼈 미세골절 후 3주가 지났는데 걸어다녀도 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7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3주전에 운동하다 발목을 삐끗해서 병원가서 엑스레이 찍었는데 골절이 아니라고 하여 반깁스만 한 상태로 있었는데 3일 후 붓기가 안빠져 mri촬영해보니 바깥쪽 복숭아뼈 실금과 관절에 피가 차있다고 하여서 반깁스 착용하였습니다 의사선생님 말로는 보통 한달정도 걸린다고 하였는데 반깁스 벗고 보호대 차니 어느정도 걸을만 해서 여쭤봅니다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미세골절로 치료를받고나서 3주정도의 시간이지났다면 어느정도 걷는건 가능할수있는데요 고정하고있었던 기간이있기때문에 재활치료를받으면서 점차강도를늘려가는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에서 집에서할수있는 운동과스트레칭을배워서 꾸준하게 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 부상의 경우 복숭아뼈 실금과 관절 내 출혈이 있는 상황이라면 회복 기간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실금이 있는 경우 치료 후 약 4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반깁스를 착용한 후 붓기가 가라앉고 어느 정도 걸을 수 있다면 회복이 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하지만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지면 무리하지 않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을 운동하시다가 다치시고 현재 3주전도 지나신 상태라면 아직까지는 되도록이면 체중부하를 안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너무 과도한 체중부하는 대려 회복에 차질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체중부하정도는 괜찮을 수 있으나 무리한 부하는 별로 안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가장 정확한 상태는 치료 받는 병원에 담당 주치의 선생님이 가장 잘 아실걸로 판단되어 체중지지여부는 해당 병원에 문의해보시는게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 골절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아직 완전히 유합이 되지 않으셨다면 증상이 더 심해 지시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발목에 부하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하시지 않으셔야 하며 불편하시더라도 발목에 부하를 줄 경우 반깁스를 착용해 주시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반깁스를 제거하고 보호대 착용을 처방 받았다면 가벼운 일상생활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깁스 사용 기간 동안 약해지고 뻣뻣해진 근육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스포츠 테이핑을 발목 부위에 부착하셔서 도움을 받는 것도 좋으며 무리하게 많이 걷지 않도록 하시고 족욕이나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서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미세골절은 완전히 회복하는데 6주에서 8주가 걸립니다 3주가 지났다고해사 무리하게 걸으면 골절부위가 다시 벌어지거나 회복이 더뎌질수있습니다 걷기에 대한 판단은 의사와 상담해보셔야하고 의사는mri 결과와 현재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걷는것에 대한 허용여부와 보조기 착용 운동강도등을 말해줄것으로 보여집니다

    3주 동안 반깁스를 착용하고 어느정도 걸을만하더다고 걷거나 활동할떄 통증이 심하다면 무리하지않는것이 좋고 발목부위에 부종이 남아있거나 불안정하게 느껴지면 걷는것을 자제하거나 보호대착용하고 조심스럽게 움직이는것이 좋습니다

    3주가 지났는데도 완전히 회복되지않은것은 미세골절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치유속도가 느릴수있습니다 개인의 건강상태 연령 생활습관에 따라 회복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결론은 3주후에도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하고 섣불리 걷기를 시작하면 오히려 회복이 더뎌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가급적이면 전문의의 소견에 따르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어느정도 보행이 가능할 수 있지만, 염증반응이나 불편감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대 착용 후 활동하시는 것에 대해서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