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4.11

코로나로 휴업 후 퇴사를 하게됐는데, 퇴직금 산정이 어떻게 되는게 맞나요?

저희 삼촌이 중소기업을 다니시다가 코로나로 장기휴업에 들어가셨는데, 결국 회사가 폐업처리가 된다더라구요. 그렇더라도 퇴직금은 받으셔야 하잖아요. 그런데 퇴직금 정산할때, 퇴직 전 급여가 기준이되는데 장기휴업으로 급여가 없을땐 어떻게 산정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조제1항에 따라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휴업한 기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일수와 그 기간 중에 지급된 임금은 평균임금 산정기간 및 임금에서 공제합니다

    이에, (퇴직 전 3개월간 임금합계 - 3개월 중 산정제외 기간에 지급된 임금) ÷ (3개월 간 총 일수 - 3개월 중 산정제외 기간의 일수)
    와 같이 산정하면 될 것입니다.
    다만, 퇴직전 3개월이상 정상근로일이 전혀 없이 바로 퇴직을 하게 된다면, 휴업개시일이전 3개월의 임금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해당 휴업개시일 전 3개월 동안에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하여 퇴직금을 산정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평균임금 산정시 무급휴직 기간은 제외하므로, 휴직 전 기간에 받은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휴업기간은 평균임금 산정기간에서 제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휴업 이전의 3개월 평균으로 평균임금 계산해서 퇴직금 계산합니다.

    휴업기간도 재직기간에 포함해서 계산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 계산시 휴업전 정상출근 기준 3개월간의 임금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여 퇴직금을 계산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회사의 승인을 받아 개인 질병으로 휴직한 기간 및그 기간의 임금은 평균임금 산정 시 제외되어야 할 것입니다(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조).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장기휴업 등으로 퇴직전 3개월간 지급된 임금이 없는 경우, 휴업에 들어가기 전 3개월 간의 급여를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여 퇴직금을 계산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엄주천 노무사입니다.

    휴업으로 인하여 퇴직전 3개월의 임금이 없을 경우 평균임금의 산정은 최종적으로 지급받은 3개월의 임금을 그 3개월의 일수로 나누어 산정하면 됩니다. 그렇게 할 경우라도 재직기간은 최종 퇴직한 날짜까지로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