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 자율신경실조증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온몸에 통증, 여러가지 증상으로
정형외과에서는 섬유근육통의증 진단받았으며
신경과에서는 자율신경계 검사에서 모든항목이 매우 나쁨으로 나와서 자율신경기능실조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섬유근육통으로 대학병원 류마티스내과 진료대기중인데요
섬유근육통과 자율신경기능실조증이 같은 질환으로 볼 수 있나요?
자율신경기능실조증으로 약물치료를 시작했는데요. 치료가 되는 질환인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자율신경실조증과 섬유근육통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다만 서로 영향을 끼칩니다 자율신경실조증은 근육통을 쉽게 유발하게됩니다
섬유근육통과 자율신경기능실조증은 증상과 병태생리에서 일부 유사점이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다른 질환입니다.
섬유근육통은 전신의 만성 통증과 함께 수면장애, 피로감, 우울감 등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통증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과민반응이 주된 기전으로 생각됩니다. 반면 자율신경계 이상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섬유근육통 환자의 상당수에서 자율신경계 이상 소견이 관찰되고, 자율신경계 조절이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흔하므로, 포괄적인 평가와 치료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자율신경계 이상에 대해서는 생활습관 교정, 운동요법, 스트레스 관리, 인지행동치료, 약물 치료 등을 병행하게 됩니다. 꾸준한 관리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시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자율신경의 기능 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의 경우 임상 양상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아마 드시고 있는 약제는 대부분 스테로이드 계열 약제 또는 면역 글로불린 약제를 드시는 경우가 많긴 하나 호전되는 데에는 수개월 정도가 걸리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섬유근육통이 자율신경기능성실조증이랑 같은 질환은 아니나, 자율신경의 기능성 실조증이 심해지면 섬유근육통이 악화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섬유근육통과 자율신경기능실조증은 서로 다른 질환으로 분류되지만, 이 두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으며, 서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인 전신 통증과 피로, 수면 장애, 기억력 문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추 신경계의 통증 처리 방식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자율신경기능실조증은 자율신경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혈압, 심박수, 소화, 체온 조절 등의 다양한 신체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섬유근육통 환자들 중 일부는 자율신경계의 기능 이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의 이상이 섬유근육통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섬유근육통이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질환이 동시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증상을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는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며, 완치보다는 증상의 관리와 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섬유근육통 역시 완치는 어려울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증상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섬유근육통이 지속되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항진되고, 이로 인해 자율신경계 실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교감신경이 항진되면 근육의 긴장 상태가 끊임없이 유지되어 섬유근육통이 악화되므로 자율신경계가 균형을 이루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