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대한 변화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2045년 돠면 암을 만성질환처럼 관리하는 병으로 여겨질거라 예상하면 즉 암은 더이상 삶을 위협하는 수준의 질환이 아닌 수준으로 발전한다는 의미인가요? 그렇게 하면 생활하는데 딱히 불편함은 유튜브에서 여러이야기가 나오고있습니다만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미래에는 조기에 진단하는 기술이나, 표적치료, 면역항암제등의 발전으로 인해서 암을 조절할 수 있는 만성질환수준의 관리가 가능해 질 것이라고합니다.
즉, 암 자체가 사망률을 급격히 높이는 위협보다는 정기적인 치료와 모니터링으로 생활이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되도록 변화해갈 수 있을것이라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네, 2045년 암이 만성질환처럼 관리된다는 것은, 암이 더 이상 삶을 크게 위협하는 질병이 아니라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한다는 의미가 맞습니다.
만성질환이란 완치는 어렵지만, 꾸준한 치료와 관리로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며 살아갈 수 있는 병을 의미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있죠. 이 질병들은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며 관리하면 심각한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처럼 암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네, 질문주신 것에 대해 답변해드리자면 의학계와 미래학자들이 이야기하는 “2045년쯤 암이 만성질환처럼 관리되는 시대”라는 표현은 말씀하신 것처럼 암이 지금처럼 치명적이고 두려운 질환이라기보다는,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장기적으로 약을 먹거나 치료를 받으면서 조절 가능한 병이 될 가능성을 말하는 것인데요, 정밀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환자 개인의 유전자와 종양 특성을 분석해서 가장 잘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게 되면서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 극대화를 불러오게 되었습니다. 즉 암을 완전히 없애지 못하더라도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전이를 막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로 수십 년간 관리 가능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요, 결국 “암 진단 = 곧 생명 위협”이라는 인식이 “암 진단 = 꾸준히 치료받아야 하는 질환”으로 바뀔 수 있는 것입니다. 현재도 당뇨병 환자들이 매일 약을 먹고 식이 조절하면서도 정상적인 생활을 하듯이 미래의 암 환자도 약물·면역치료·정기검진만 잘 받으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 없이 살아갈 수 있을 가능성이 크며 단, 암 종류·진행 단계·개인차에 따라 관리 난이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암이 만성 질환처럼 관리된다는 것은 완치가 어려워도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꾸준한 관리로 생명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치료 기술과 진단법의 발전으로 암이 더 이상 즉각적인 생명의 위협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며,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치료받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암의 종류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만성 질환으로 관리된다고 해서 불편함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