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완강한삵188
완강한삵18822.03.25

3교대근무회사 붙일수 있는 야근횟수 궁금합니다.

3교대 24시간 돌아가는 콜센터에 근무합니다.

야근이 1달에 7회 있는데 붙여서 3회 또는 4회 또는 6회 길게는 7회까지 이어서 일 하게 합니다.

야근을 붙여서 며칠까지 근무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1.근로기준법 제50조 및 제53조에 따라 1주 소정근로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고, 1주 연장근로는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각을 더하여 1주 52시간이 최대로 근무할 수 있는 근로시간이 됩니다. 해당 규정은 강행규정이므로 당사자간 동의가 있더라도 이를 초과하는 근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2.야간근무의 횟수에 대하여 별도로 정해진 바는 없으며, 다만 상기의 근로시간 제한에 따라 근무횟수가 제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근로기준법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①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행정사입니다.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근로기준법은 한주에 1회이상 유급휴일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5인이상 사업장의 경우

    한주 근로시간이 5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한주 근무하는 시간을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야간근로란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하며, 야간근로일수에 대하여 법에서 별도로 제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야간/주간근로를 구분하지 않고 1주 52시간, 1일 2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시킬 경우 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재필 노무사입니다.

    야근을 붙여서 하는 것은 근로기준법상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질문자님에게만 불리하게 적용되어 질문자님 혼자만 7회 연속 야근을 하는 것이라면 차별대우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