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차분한거미93
차분한거미93
21.12.18

교대제 근무자 법정공휴일 발생시 휴무일이 발생하나요?

2021년 1월 1일부터 법정공휴일 발생한 50인 이상 근무하는 기관입니다

교대제 근무형태로 근무중이며 정해진 근무 형태는 없지만

1주일 5일 근로를 원칙으로 주간 야간 근무가 섞여있습니다

주주야휴주야휴 근무는 매주 형태가 바뀌며 한달전에 근무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최근 근로감독관 방문후 근무조건이 더 까다롭게 바꼈으며 근무일수도 늘어났습니다

주 40시간근무 연장근로 52시간 초과하며 안되는 근로기준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한달에 시간외 근무를 40시간까지 임금으로 적용받을수 있고 40을 초과하는 시간은 임금이 아닌 보상휴무를 받고 있습니다

월 총근로일수를 주간근무를 하는 사무직에 맞혀서 계획하고 있는데 지난달부터 법정공휴일에 근로를 한경우 시간외 근무이므로 휴무일에 하루 더 근무를 하라고 했습니다 법정공휴일이 2일발생하고 2일 근로를 하게 되며 2일 근로 일수를 채우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법정공휴일은 시간외 근무로 인정되므로 근로일에 포함이 되지않는다고해서 법정공휴일에일한 만큼 그주에 추가로 근무를 히라고 합니다

법정공휴일은 근로를 하지 않는 유급휴일이면 근로로 인정이 되고 근로한 만큼의 수당이 지급되야 되는것같은데 근로감도관이 그렇게 해야된다고 하니 의의 제기도 어렵습니다

그리고

주야휴를 섞어서 한주 법정공휴일이 발생했는데 5일근로를 채우는 경우 법정공휴일이 발생된게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사무직일 경우 5일 근로중 1일이 법정공휴일이면 4일 근무하는데

교대직근무자들은 법정공휴일이 유급인데 근로를 했을때는 시간외 인정이되고 쉬는경우는 어디서 적용받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