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싫어 ..싫어만 외치는 아이는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할까요?

자기 고집이 쎈건지는 모르지만 잘 설명을 하려고 해서 싫어 싫어 이렇게만 이야기를 하는데요.

이런 아이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고집이 쎄서 '싫어 싫어'만 외칠 때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집을 피우는 상황에서는 어떠한 말을 해도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평상시 싫다라는 표현을 자주한다면

    일상에서 규칙을 정하여 주고 그에 맞게 잘 책임있게 행동했을때는 그만큼의 칭찬과 댓가를 제공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싫어 라고 외치는 이유는

    분명 그 싫음에 이유는 있을 것입니다.

    아이가 싫어 라고 말을 한다면 아이에게 왜 싫은지 그 이유를 물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가 싫어 라고 말을 하기 전에 미리 아이의 마음을 읽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파악하여

    아이의 감정을 케치하여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

    아이가 싫어 라고 말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미숙함이 커서 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싫어 라고 전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싫어 라고 말을 내뱉으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싫어 라고 말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싫어 라고 말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시작하고 자신의 의사 표현이 발달하기 시기에 자주 나오는 말투 입니다.

    이때부터 감정 표현 방법 및 대화 방법을 가르쳐 주셔야 합니다.

    싫어 라는 말투를 자주 할때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그리고 싫어 라는 말 대신에 구체적으로 "xx가 싫어, xx했으면 좋겠어" 라고 말할 수 있도록 알려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주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싫어"만 반복하는 아이의 행동은 단순히 고집이 세기 떄문이라기보다 자기의사를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강하게 자라나는 자연스러운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특히 만 2세에서 4세 사이의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특징인데, 이시기는 자율성과 독립심이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나타나는시기라서, 무언가를 자기방식대로 하고싶고 , 누군가의지시나 통제에 저항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이런 아이에게는 무언가를 강요하거나 계속 설명르 시도하기보다는 먼저 그 말뒤에있는 감정이나 욕구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감정을 인정해주고 아이의 입장에서 잠시 멈춰봐 주는 것이필요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싫어,싫어'만 반복하는 아이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 거부감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땐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며 '지금 하기 싫구나'라고 공감해주세요. 그런다음 '그럼 언제 하고 싶어?'처럼 선택권을 주는 방식ㅇ로 접근하면 부담이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싫다는 말만 반복하는 아이는 보통 자기 의사를 표현하고 싶거나, 통제감을 느끼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설명하는 것보다 공감해 주는 것이 먼저입니다. 지금 정말 싫은 거구나, 처럼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그다음에 짧고 단순하게 "그래도 해야 할 일은 해야 해."와 같이 말하면서 면확한 기준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선택권을 주는 것도 좋습니다. 지금 할지, 5분 뒤에 할지 등 시간을 정하는 정도로요. 무조건 설득하려고 하면 더 반발하니까 감정을 먼저 안아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아이는 점차 말로 타협하는 방법을 배워가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무조건 싫다고 하면 당황 스럽지요

    하지만 아이가 왜그러는지를 먼저 파악하는것이 순서 입니다

    지금 마음에 안드는게 있구나

    공감해 주세요

    아이에게 모엇을 할지 먼저 선택권을 주세요

    아이의 행동을 놀이처럼 접근해 보세요

    싫어의 이유를 찾아보세요

    아이의 반응을 보면서 천천히 접근해 보세요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