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길이빛나
길이빛나

잠을 나누어서 자면 안좋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9

안녕하세요.

제가 하루에 7시간~8시간 정도 자는데요.

만약에 똑같이 하루에 8시간 정도 자는데

4시간은 낮에 자고, 4시간은 밤에 잔다면

건강에 안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수면 패턴을 변경하는 것은 그 만큼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다시 변경하는 것 역시 적응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사람의 개인 차이로 건강에 영향을 반드시 주는 것은 아닙니다

  • 수면 시간은 개인마다 필요로 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지만, 성인의 경우 하루 7~9시간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수면의 질 또한 중요한데, 수면 시간을 낮과 밤으로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생체리듬은 자연의 빛과 어둠에 맞추어 진화해왔기 때문에, 밤에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낮잠이 필요하다면 20~30분 정도의 짧은 낮잠을 권장합니다. 낮에 장시간 수면을 취하면 밤에 숙면을 취하기 어려워지고, 이는 불면증이나 수면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들이고, 숙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건강한 수면을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수면의 질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전문의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좋겠습니다.

    수면에서 중요한건 NREM 4기 깊은잠이 얼마나 많냐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면 NREM, stage 4라고 표현된 8시간의 수면중에서도 매우 적은 수면을 의미합니다.

    수면을 잘라서 자게되면 깊은 수면이 줄어들기 때문에 같은 시간을 자도 깊은 수면의 비율이 줄어들 수 밖에 없어서 좋지 않겠습니다.

  • 잠은 통잠을 자는게 가장 좋습니다. 수면 리듬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몸도 거기에 맞춰 하루의 피로를 회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잠을 나누어서 쪽잠을 잔다면 피로가 원하는 수준만큼 회복되지 않습니다. 수면 패턴이 망가질 확률이 커지구요. 그리고 낮에 4시간 자는 경우 밤에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잠이 온단 보장도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밤에 연속적으로 7-8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이유는, 이러한 패턴이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체 리듬과 가장 잘 맞기 때문입니다. 연속적인 수면은 심장 건강, 기억력, 학습 능력, 정서 조절 및 면역 체계 강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깊은 수면과 REM 수면 단계는 연속적인 수면 중에 더 효과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신체와 정신의 회복에 중요합니다.

    .

    분할 수면 패턴을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낮과 밤에 각각 자는 시간이 전체 수면 주기를 충분히 포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낮잠을 자는 것이 밤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고, 총 수면 시간이 질문자분의 수면 필요량을 충족시킨다면, 이러한 패턴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무리가 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이론적인 이야기고 실제로는 낮과 밤에 분할 수면을 하신다면 불규칙하거나 수면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피로나 집중력 저하, 정서 불안정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분할수면 말씀이군요

    과거 나폴레옹이 유지한 수면습관으로 유명하죠

    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한 번에 길게 자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황상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분할 수면이 대한은 될 수 있습니다

  • 야간 시간대에 이어서 8시간을 자는 거에 비해서 네 시간씩 끊어서 점심, 저녁 나눠서 자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낮에 취하는 낮잠은 되도록이면 30분 이내로 자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녁 시간이 되어 잠을 잘 때에는 최대한 끈김없이 쭉 자주는 것이 건강에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수면 방법은 분할수면이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수면은 우리 몸이 회복되는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장기기억 능력 향상 및 생산성 있는 몸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급적이면 한번에 길게 주무시는 것이 좋으나, 만일 직업적인 부분 때문에 어려우시다면 4시간씩 분할하여 수면을 가지셔도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그리 권장드릴만한 수면습관은 아닙니다. 인체의 수면패턴은 햇빛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멜라토닌이라는 수면유도호르몬이 밤에 그 농도가 높아지고 아침이면 낮아지는 것을 통해 그 영향력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밤에 주무시는 시간을 줄이면 같은 시간만큼 낮에 주무셔도 피로를 회복하는 정도가 달라지고 더 피로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일주기성이 있어, 짧은 시간의 낮잠은 피로를 푸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잠자는 시간을 절반 이상으로 나누는 행동은 오히려 일주기성을 파괴하고, 숙면을 취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잠을 방해받는 행동 또한, 건강엔 악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수면 부족 또한 암의 발생을 높힐 수 있다는 연구 또한 있음 알려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20분 이하로 짧게 낮잠을 자는 것은 피로를 풀어주고, 집중력과 주의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을 자면 수면 리듬을 깨뜨릴 수 있고, 피로를 더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금씩 나눠서 자면 수면의 초기 단계에서 깨어나게 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