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선량한쿠스쿠스162
선량한쿠스쿠스162

재계약을 집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바꾸자고 합니다 그런데 월세 금액이 너무 적게

전세 2억8천 이년 연장시

5프로 인상을 하는데

월세계약으로 바꾸자고..

지금 전세금액을 보증금으로 하고

월세금을 7만원으로..

7만원..

이 7만원이 지금 보증금의 5프로의 또 몇프로라는데..왜 이런 제안을 하는 건지..

임차인을 위해서 이럴리는 없고

임대인에게 이리 하면 뭐가 유리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어떠한 이유로 이를 제시하는 지는 중요하지 않을듯 보입니다. 이유가 어찌됐던 질문자님(임차인)은 보증금의 5%인상과 월세 7만원 지급중 유리한 부분을 선택하여 동의를 하던지 이를 거부하시면 될 부분입니다. 현재 전세 5.6억일 경우 5% 인상하면 보증금은 5.88억이 되기 때문에 실제 2천만원 목돈을 지급할지 목돈 지급없이 월 7만원을 부담할지 유리한 판단만 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를 5% 올리면 1400만원입니다.

      전월세전환율이 5.5%라 1400만원의 5.5%면 77만원입니다.

      77만원을 12개월로 나누면 64,166원이 임대인이 임대료 5% 올린 값입니다.

      대략 위와같이 구한것 같은데 저 전월세전환율 5.5%를 지켜야 할 의무가 모두에게 있는것은 아닙니다.

      주택임대사업자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서 연장하면서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경우에 적용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것은 현재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이에 대한 대처법과 임대인에게 유리한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임대차계약서 재작성:

      집주인이 바뀌었다고 해서 임대차 계약서를 다시 써야하는 건 아닙니다.

      새로운 집주인이 기존 세입자에게 나가 달라고 할 수 없으며, 세입자는 계약 만기 시까지 그대로 거주할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 따라 세입자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 거주하고 있었다면 대항력이 발생합니다. 새로운 집주인에게 기존 임대차 계약이 그대로 승계되는 것이죠.

      전세보증금은 누구에게?:

      전세금 반환 문제로 임대인과 임차인이 갈등을 겪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4항은 '임차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양수인은 새로운 집주인을 의미하는데요. 새 집주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받아 보증금을 돌려줄 의무가 생깁니다.

      보증금 우선변제:

      세입자는 전세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증금에 대해 별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새로운 집주인이 근저당을 설정했더라도 임차인이 근저당보다 선순위를 확보 (우선변제권)하고 있기 때문에 혹시 경매가 진행된다고 해도 가장 먼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임대인이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몇 가지 가능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동산 투자: 임대인이 전세금을 투자로 활용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월세 수익: 월세로 바꾸면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받을 수 있으므로 임대인에게 월세 수익이 발생합니다.

      임대차 계약 기간 조정: 임대인이 임대차 계약 기간을 유연하게 조정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임대인이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2억8천이 5%면 1천4백만원입니다

      이것을 월세로 환산하면 7만원이 맞습니다

      보증금 2억8천에 월세 7만원씩 받는다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