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소액절도 합의금 어느 정도로 해야 되나요?
몇 달 전 깜빡 잊고 올려둔 지갑에서 6~7만 원 및 카드, 민증 등 있었는데 현금만 빼고 나머지는 화장실에서 찾았습니다.
담당 경찰관 통해서 피의자랑 통화 한 상황인데 합의금 20 정도로 얘기하는 거 같고 만나서 사과하고 합의금 지불하고 싶다고 말한 거 같습니다.
1. 초범인 거 같은데 합의 안 할 시 기소유예인가요? 기소유예면 피의자에게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액수가 액수다 보니 없는 셈 치고 쓴맛 보여줄 수 있다면 그렇게 하고 싶습니다.
2. 피의자랑 통화 과정에서 친구의 번호가 알려졌는데 합의 안 한다고 어떤 방법으로 인한 해코지가 있으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예를 들면 친구나 지인의 전화로 테러를 한다던가, 만약의 경우에 주민등록증을 그 사람이 찍어놨을 경우에요.
3. 쓴맛을 보여줄 수 없다면 합의를 해야겠는데 액수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현실적인 범위 안에서 최대를 부르고 싶습니다. 50만 원 정도면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답변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초범이고 피해금액이 적다면 기소유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소유예는 불기소처분으로 불이익이 없습니다.
2. 수사기관에 해당 행위를 주장하고, 추가고소여부를 검토하시면 되겠습니다.
3. 네 50만원을 부르고 조율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의금액수는 당사자가 결정하실 문제이며 어떤 기준이라고 할 것은 없습니다만 피해액을 기준으로 적당히 가감하여 결정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세무사입니다.
초범이라고 하여 점유이탈물횡령죄에 있어서 합의를 하지 않는다고 하여 기소유예가 되기 어렵고 이에 대해서 약식명령의 벌금형이 내려 질 수 있습니다. 합의는 임의 절차로 적절한 금액을 제시하여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