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

밀가루가 몸에 안좋은데 빵이 주식이 유럽은 문제없나여

밀가루가 몸에 좋지 않아서 빵을 자주 먹지 말라고 하던데요... 빵이 주식인 유럽사람들은 그럼 건강이 안좋을까요 거기는 매일 빵을 먹는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밀가루는 몸에 나쁘지 않아요

    많이 먹으면 나쁘게[ 되는거죠

    밥도 많이 먹으면 건강에 해로운 것과 같은 원리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미연 영양사입니다.

    오랜기간 밀을 먹는 서양인은 유전적으로 동양인과 다릅니다 최근 밀가루가 주식처럼 자리를 잡았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췌장이 작고 약한 편이라는 사실도 밝혀졌어요. 

    즉, 같은 양의 탄수화물을 먹어도 혈당 조절이 더 어렵고, 그 결과 당뇨병 발병률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점도 밀가루 섭취 시 함께 고려해야 할 부분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유럽에서 빵은 주식이지만 흰밀가루빵이 아닌 주로 통밀빵처럼 섬유질과 영양소가 풍부한 빵을 많이 먹습니다.
    또한 신선한 채소, 과일, 올리브유 등 건강한 식단과 함께 균형 있게 섭취해 큰 문제가 적습니다.
    즉, 빵 종류와 전체 식습관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유미 영양사입니다.

    밀가루가 무조건 몸에 해로운것 아니며 문제는 주로 정제된 밀가루와 가공빵의 과잉 섭취 입니다. 유럽인들은 천연발효빵, 통밀빵처럼 소화가 쉬운 빵을 즐기며 치즈,야채,단백질 등과 함께 균형있게 먹는 식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 일부는 글루텐에 유전적으로 잘 적응되어 있어 밀을 주식으로 해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밀가루가 무조건 몸에 나쁘다는 인식은 다소 단순화된 관점일 수 있습니다. 유럽인들이 매일 빵을 주식으로 먹어도 큰 문제가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 영양학적 고려와 식습관의 차이 때문입니다. 첫째, 유럽에서 주로 소비하는 빵은 정제된 흰 밀가루 빵보다는 통곡물(호밀, 통밀)로 만든 거칠고 단단하며 설ㄹ탕이 적게 들어간 빵이 많습니다. 이러한 빵은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혈당을 천천히 올리고 소화에 도움을 줍니다. 둘째, 빵과 함께 다양한 식재료를 곁들여 먹는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치즈, 햄, 채소, 올리브 오일, 생선 등 단백질과 지방, 비타민, 미네랄을 보충해주는 식품들을 함께 섭취하여 영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양인에게는 밀의 글루텐 성분에 대한 유전적 ㅓ민감성인 셀리악병 등이 동양인 보다 흔하지만, 이는 전체 인구의 극히 일부이며 대다수의 사람들은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밀가루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어떤 종류의 밀가루를 어떤 방식으로, 다른 음식과 어떻게 조합하여 섭취하는지가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