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노조가 생기므로 해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요
우리나라는 현재 복수노조를 허용하는 국가인데요 그리고 복수 노조가
생기므로 해서 여러가지 장단점이 있는것 같은데요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복수노조 제도는 노조 설립의 자유를 보장하고 노동자들의 선택권을 넓혀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특정 노조의 독점적 지위를 견제하여 보다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반영함으로써 교섭의 대표성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노조 간 갈등과 분열이 생길 경우 단체교섭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기업 입장에서는 교섭 창구가 다원화되어 노사관계가 복잡해지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복수노조란 하나의 사업장 내에서 근로자들이 서로 다른 노조에 가입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즉 동일한 조직이나 집단이 두 개 이상의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복수노조는 산업화가 진행되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계층이 등장하면서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장점으로는 먼저 직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여러 개의 노조가 존재함으로써 각 노조마다 특화된 정책이나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원들의 업무 참여도와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한 노조에게만 집중되는 지원을 분산시켜 더욱 균형 잡힌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경영진 입장에서도 좀 더 유연한 대처가 가능해 집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이슈에는 한 노조의 의견을 반영하고 다른 이슈에는 다른 노조의 의견을 고려해야 할 때 이러한 선택지가 생긴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초기 단계에서는 새로 생겨난 노조끼리 대립하거나 각자의 권리를 주장하느라 시간 낭비하기도 쉽다.(협상력이 낮아 진다는 점)
게다가 실무상 어려움도 동반되는데 부서별로 선호하는 노조가 다를 경우 어떻게 조율할지 고민해야 하며 불필요한 갈등 예방을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합니다.(내부갈등이나 노노갈등이 발생할 우려)
더불어 중복투자 되는 비용 부담도 커질 수 있으므로 경영상 이점만을 기대하고 복수노조를 추진했다가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복수노조가 존재함에 따라 근로자의 선택권이 확대되어 근로자의 권익 신장에 도움이 되나, 교섭력이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복수노조가 있더면 근로자의 선택권이 보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이해관계가 반영될 수 있습니다
다만 교섭창구단일화나 교섭 과정에서 노조간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