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주택이 평수로 따지면 몇 평인가요?
법적으로 소형주택의 기준이 40m*2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걸 평수로 비교한다면 대략 몇 평인지 알려주시고 이게 기준인 까닭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소형평수의기준은 60m2(18평)이하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40m2는 12평정도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소형주택의 기준으로 제시된 40m2는 약 12.1평에 해당합니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평은 약 3.3m²이므로, 40m² ÷ 3.3m²/평 ≈ 12.1평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적으로 소형평수는 사실상 세법상 세금산정시 소형저가주택을 구분하는 것으로써 세목에 따라 일정기준을 두고 판단하게 됩니다. 보통 법적 소형주택은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60제곱이하, 공시가격 수도권기준 1.3억이하 ,수도권 이외 지역 8000만원이하를 말하나, 최근 개정을 통해 지방은 1억, 수도권 1.6억이하로 개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질문에서 말한 40제곱미터의 경우 평수로는 12~13평사이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소형주택은 60m2이하 주택을 말하며, 약 18평으로 기준인 이유는 딱히 없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소형주택의 기준인 40㎡(제곱미터)를 평수로 변환하면 약 12.1평입니다. (1평은 약 3.3㎡이므로, 40㎡ ÷ 3.3 ≈ 12.1평)
소형주택의 기준이 40㎡인 이유는 주거 공간의 최소 기준을 설정하여 주택 시장에서 소형주택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문의하신 소형 주택의 기준은 주거전용면적이 50m2 이하인 주택이며, 이는 약 15평(49.5m2)입니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주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전에는 소형 주택의 기준이 85m2 이하(약 25평)였으나, 2010년 7월 주택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1인 가구의 증가 등에 따른 주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소형 주택의 기준을 50m2 이하로 변경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대략 12평 정도 됩니다.
40제곱미터가 소형인 이유는 4인가족이 살기에는 애매하고 1~2인 가구가 살기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형으로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의 소헝기준은 60입방이터 이히로 서울지역은 1억3천이하이며 지방믄 8천이하를 지칭합니다
죄근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소형 아파트 소유자에게는 일반아파트 청약시 무주택자로 간주함은 물론 일반청약에 대하여 공공 및 민영할것 없이 문호를 개방 하였습니다
그리고 입방미터를 평수로 환산시 0.3025를 곱하면 됩니다
따라서 40입방미터는 40 × 0.3025=
12.1평이 되겠습니다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