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규모를 6억원 아래로 제한한다는데요. 요즘 아파트값 평균이 10억인데 턱없이 부족한거 아닌가요?
수도권과 규제 지역에서 주택을 구입할 때 받을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6억원 아래로 제한한다는데 요즘 아파트값 평균이 10억인데 사지 말라는건가요??
수도권과 규제 지역에서 주택을 구입할 때 받을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6억원 아래로 제한한다는데 요즘 아파트값 평균이 10억인데 사지 말라는건가요??
==> 이번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여유자금이 없는 사람은 주택을 구입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제도가 시행될 수록 부동산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상 수도권 및 규제지역 아파트는 절반만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기자본 부담이 증가하여 갈아타기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고가 매매 심리가 급랭하게 되면서 거래위축과 가격조정이 유력하다고 봅니다.
네.
고가의 아파트를 내 돈 얼마 없이 많은 대출로 사지 말라는 뜻입니다.
15억 정도 아파트를 사려면 이제는 내 돈이 9억 정도는 있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상승세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극약 처방을 내린 듯 합니다.
실수요자에게는 버럭할 내용이지만 추후 무주택 실수요자들을 위한 정책이 따로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기다려 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의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 주택 가격 수준과 주택 구매자 소득대비 부채 등을 고려하여 6억원 한도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이는 과도한 빚을 내서 주담대를 활용하여 고가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취지 입니다. 또한 갭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해서 주택 매수자가 전세보증금으로 매매대금이나 분양잔금을 납입할 때 전세대출을 활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과도한 대출로 인한 가계 재정부실과 실거주 아닌 투기나 투자 목적의 주택구입 등을 막기위한 정책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경우 부동산 상승세가 심상치 않고 그러한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서 주택담보대출 6억 이하 카드를 발표를 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현금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에게는 불리한 정책이고 현금이 많은 부자들에게는 아무 영향이 가지 않는 정책이고 특히 외국인들은 자국에서 현금을 마련해서 구매를 하니 이 또한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정책으로 보여 집니다.
이러헌 규제 보다는 공급을 늘려서 부동산 안정을 시키는게 더 좋은 정책이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부 합산 연소득 9천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주택가격이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9억원 이하
조정대상지역: 8억원 이하
이 조건을 만족한다면, 이제 주택담보대출이 LTV(담보가치 대비 비율)와 DSR(총부채상환비율) 한도 내에서 6억원 초과도 가능합니다
소득·주택 가격 요건이 맞는지 먼저 체크하셔야 합니다
LTV 한도 파악: 10억원 아파트 → LTV 50%라면 5억원 대출로만 가능
DSR 모의계산: 현재 부채와 신규 대출 원리금 합산해서 연소득 기준 40~50% 이내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수도권이나 규제지역에서 아파트 평균가격이 10억을 넘기는 상황에서 주담대를 6억원 밑으로 제한한다는 것은 실수요자 입장에서도 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억제하면서, 가계부채를 관리하고, 고가 주택을 대상으로 규제하려는 목적을 띈 제도입니다.
따라서 10억원 미만 주택을 찾아 보는 시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현재 분당, 서울권을 벗어나서 조금만 아래로 내려와도 10억 미만의 아파트가 상당수입니다.
그래서 약간 시야를 넓게 가지고 구매의 폭을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