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생 출퇴근 시간을 임의로 변경하는 사장 어떻게 해결하나요
제가 하는 알바 특성상 연휴 같은 때 손님이 많이 몰리게 되어있는데
사장님께서 알바생들 일정을 물어 보신 후 연휴 근무 스케줄 표를 연휴 2주전에 보내 주셨고 그렇게 인지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연휴에, 제가 출근해야 되는 당일 날 교부 된 스케줄 표엔 저의 이름이 없었고
그 다음 출근해야 되는 날 당일에는 "오늘 출근 안하고 싶으면 안해도 돼" " 오늘 손님은 없고 알바생은 많네 " 라고
말씀하시며 출근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그때 그떄 매장 상황으로 기존에 말씀하셨던 스케줄과 달리 일찍 퇴근 시키거나
늦게 출근을 시키는 일이 많이 벌어지는데 한편으론 이해가 되면서도, 솔직히 화도 많이 납니다
대충 궁금한 걸 요약하면
1. 근로계약서에 적힌 상시 출근 고정일자가 아닌 사장님이 구두로 혹은 문자로 남긴 스케줄 일자도 계약으로 성립해
사용자와 근로자가 그 스케줄을 지켜야 하는 법적 효력이 발생하는지
2. 찝찝하게 계속 "오늘 출근 안해도 돼" "오늘 몇시에 출근해도 돼~" 라는 식으로 강제성이 아닌 권유 인척하며
얘기하는데 이것 때문에 저의 의사도 반영 되었다 판단되는지
3. 스케줄 표와 달리 일찍 퇴근했거나 늦게 출근한 것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4. 신입 교육한다며 기존 근무자의 (근로계약서에 적힌) 출근 시간을 늦추는데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혹은 사용자의 처벌.
5. 위 사항에 저희 매장이 상시 근로자 5인 이상 매장이 아닌 경우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근로자의 동의없이 불가합니다.
2.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3. 네, 가능합니다.
4. 해당 사업장이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라면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휴업으로 보아 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른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5. 휴업수당은 청구할 수 없으며, 조기출근한 시간에 대하여는 시간에 비례한 임금만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서에 근로시간 명시를 이유로 임의 변경 거부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1.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애매하게 말하는 건 본인이 거절하면 그만입니다.
3. 네
4. 5인 미만이면 받을 수 있는 게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해 출근하지 아니한 날이거나 조기퇴근한 날에 대해서는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