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혼자 사는 사람이 증가하는데 집값은 떨어질까요?
1인 가구가 증가할수록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서 주택 가격이 올라야 하는데요. 오히려 집값이 주춤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가격은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아서 변화하는데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수요 증가도 영향을 끼치기는 하나 전체 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보다 중요한 투자 심리가 고금리와 정부의 대출 규제 및 경제침체 등으로 인해 위축되다보니 아파트 등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 등이 보합수준으로 내려온 상태 입니다. 더구나 내년도에 트럼프 2기의 출범을 앞두고 있어서 환율이 상승하고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보니 내년도에도 시장 상황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1인 가구가 증가할수록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서 주택 가격이 올라야 하는데요. 오히려 집값이 주춤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혼자 거주하는 사람이 증가되어도 주택가격이 올라가지 않는이유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주택을 구입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의 경우 고금리의 장기화, 대출 규제등으로 전체적으로 부동산 침체의 길을 가고 있습니다.
물론 수요가 몰리는 지역은 가격 방어가 잘 되고 있지만 그렇치 못한 지역의 경우 수요 대비 공급이 많아지면 오히려 가격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주택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이 올라가지만 지방처럼 인구소멸이 빠를 경우 가격 방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데도 집값이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택 공급 과잉 : 최근 몇 년간 많은 주택이 공급되었고, 특히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주택 단지가 많이 지어졌습니다. 수요가 증가하더라고 공급이 초과하면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경제 불황 : 경제 전반의 불황이나 불확실성이 집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들이 주택 구매를 망설이거나 대출을 꺼리게 되면 수요가 줄어들고, 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 :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가 증가하고, 이는 주택 구매의 부담을 높입니다. 따라서 수요가 감소하게 되어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거 형태 변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소형 주택이나 원룸과 같은 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대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 이로 인해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집값이 하락하는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라이프 스타일도 변하고 가전, 가구도 많아졌습니다. 그러므로 1인가구라고 하더라도 넓운 평수 수요가 늘어났고 금리 인하로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1인가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단기간 부동산 상승에 대한 피로감과 시세 차익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가격이 주춤한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