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23.07.30

과도한 부채로 인한 국가 파산을 맞은 나라가 있을까요?

과도한 부채로 인한 국가 파산을 맞은 나라가 있을까요?

파산을 한다는 것은 그 나라가 어디에 팔린다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에 스리랑카나 파키스탄, 아르헨티나 등

    여러 국가들이 디폴트를 선언한 사실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가가 채무를 상환하지 못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역대 최악의 경제 위기에 직면한 스리랑카가 국가 채무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스리랑카의 총 국가 부채는 약 830억달러(약 110조원)에 달한다. 이중 해외 부채와 국내 부채가 각각 절반 가량을 차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베네수엘라가 과도한 국가 부채로 인해 나라 살림을 말아먹고 현재는 경제적으로 자립이 힘든 나라가 되었습니다.

    • 당선되기 위해 과도한 복지정책을 펼치다가 나라의 곳간을 모두 잃고 이를 갚으려고 돈을 무한적 찍어내다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게되어 현재는 베네수엘라 자체화폐의 가치가 제로에 가깝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멀리 갈 필요 없이 지난 1998년 한국이 국가 파산 상태에 빠졌고 IMF로부터 강도 높은 고금리 긴축 정책 하에 구제 금융을 받은 바가 있습니다.

    국가 파산 뿐 아니라 기업과 개인도 부채를 갚지 못해 파산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국가 파산 시 국가가 팔리는 것은 아니고 부채에 대한 전체 또는 일부 탕감을 받아 재차 국가 운영을 하게끔 IMF나 주요 채권국들이 돕기도 합니다. 파산에서 청산까지 갈 경우 아무 것도 건질 것이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재건과 재운영이 가능한만큼 채권자들이 도와 주게 됩니다.

    그 밖에 아르헨티나 등 남미 국가와 러시아 등도 국가 파산에 빠진 경우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도한 부채로 인해 국가 파산을 맞은 나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그리스와 아르헨티나가 있습니다.

    파산했다고 국가가 팔리지는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외부채무가 증가 국가 채무조정을 위한 협상,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시위와 노동쟁의 등이 발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 부채를 갚지 못한다고 해서 다른 나라에 팔린 다던가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국가 신용도가 낮아져서 외국 기업들이 투자를 꺼려하고 기업들에 대한 이미지가 하락하고 인플렝션등의 위험등이 항상 존재 하게 됩니다. 그리스는 상환 시한까지 돈을 갚지 못해 IMF 71년 역사상 선진국 중 처음으로 채무를 갚지 않는 나라가 됐다고 합니다. 그동안 IMF 채무 상환을 하지 않은 나라는 짐바브웨, 수단, 쿠바 등 개발도상국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나라로 그리스가 있습니다.

    포퓰리즘 정책 남발로 국가부채가 커졌고 신용등급하락과 함께 파산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도한 부채로 인해 국가 파산을 맞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국가 파산" 또는 "국가 부도"라고 합니다. 국가 파산은 국가가 재무적으로 더 이상 자금을 지불하거나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아르헨티나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국가 파산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2001년에는 외국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파산을 선언했습니다. 유럽 금융 위기가 발발하면서 그리스는 2010년대 초반에 국가 파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이집트는 외빈국의 영향으로 국가 파산을 경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