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은혜로운말279
은혜로운말279

첫 거래 관련하여...질문있습니다

미국의 방염업체로부터 방염제품 샘플을 먼저 구입을 하려고 이제 절차를 밟고 진행하려고 하는데, 그 미국업체 쪽에서 자기들은 제조업체고 수출업체가 아니라서 배송 ,세관(통관), 수출입에 관련된 모든 업무 및 일을 자기들은 관여 안하고 책임을 안진다고 하고, 만약 수입자가 포워딩 업체 낀다고 하면 픽업 장소를 본사가 있는 공장이 아니라 다른 장소로 지정해놓았는데..

일단 여기까지 볼 때 제 생각으로 인코텀즈는 EXW으로 밖에 적용 안되고 그러면 여기서부터 비용이 저희가 보험까지 해서 다 지불을 하는건데

궁금한 점은

1. 왜 픽업 장소를 다르게 설정해놓은건지...

2. 이 업체가 제조업체랑 수출업체를 따로 둔 것도 아니고 그냥 자기들은 제조업체라고만 하는데 원래 이런 경우도 있는건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인코텀즈 EXW(공장인도조건)은 매도인이 자신의 구내 또는 기타 지정된 장소(공장, 작업장, 창고 등)에서 물품을 매수인의 임의처분상태로 놓아둘 때 매도인의 물품인도의무가 완료되는 규칙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장으로 지정하겠지만 꼭 그렇지는 않으므로 기타 지정된 장소로 보여집니다.

      또한, 제조업체를 하면서 동시에 수출업체인 경우도 많지만 영세하거나 기타 사유로 인해서 제조 및 내수만 진행하여 수출업무를 모를수도 있으므로 문의하신 케이스는 흔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생산업체에서 수출에 대한 경험이 없어 그러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로 수출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미국의 업체는 제조자이자 수출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신은 수출자의 역할(수출관련서류작성, 통관관련 업무 등 수출에 관한 제반업무)을 수행하지 않기 위해 수출자로서의 역할은 수행안할테니 알아서 가져가라는 식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경우 제조자와 협의하여 현지의 수출대행자(오퍼상 등)을 선임하거나 수입자인 귀사에서 포워딩 등을 통해 수입하는 방법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대신 비용에 관한 부분은 잘 협의하여 수입하시고자 하는 물품의 가격설정을 잘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치에 대한 내용은 문의주신 내용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듭니다. 아마 물류창고 등이 소재한 곳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조자에 관련된 사유를 문의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그대로 인코텀즈 EXW 조건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어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출업체에서 홍보하는 경우에는 자기들이 제조 및 유통까지 다 한다고 홍보합니다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곳도 많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픽업장소를 본사가 아닌 다른 장소로 할 가능성은 많습니다만,

      1. 수출업체가 제조업체가 아닌경우로써, 제품이 완료되고난 후 다른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

      2. 수출업체가 제조업체인 경우로써 제조마무리단계나 포장등은 다른 창고나 기타 장소에서 하는 경우

      3. 본사와 공장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 ( 중견이상 기업들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됨 ) 등

      이유는 사실 많기 때문에, 실제 무역시 본사건물에서 픽업 안하는 경우도 많아서 물품 및 대금지급만 원활하다면 크게 신경 안 쓰셔도 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