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착실한악어276
착실한악어276

21개월 남아 어린이 집 선생님이 혼내면 무서워 하나요?

21개월 남아가 어린이 집 벨을 눌러서 선생님이 조금 큰소리로 훈육을 했어요 그 모습을 보고 육아 담당하는 이모님이 아이가 선생님이 혼내서 놀랐다며 이후로 아이가 어린이 집에 안가려 한다고 말해요

21개월 아이가 벌써 혼내는 감정을 기억할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21개월이라면 아이가 어른의 말에 무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감정의 뉘앙스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규칙보다 감정이 먼저인 시기입니다.

    그 이유는 언어 이해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안심시키기 위해서는 말투는 부드럽고 단호하게, 감정 없이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놀라거나 움츠르들면 따뜻하게 안아주고 감정을 먼저 공감해줍니다.

    따라서 따뜻한 스킨십과 공감, 일상 속 루틴과 즐거운 상호작용, 감정 단어에 익숙해지게 하기 등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21개월 시기 이면

    자아가 성립이 되기 시작하면서 자기주장도 조금씩 강해지는 시기 이랍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아이들은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지 못할 뿐 어른들의 눈치를 보게 되고, 어른들의 말을

    알아듣습니다.

    선생님이 아이의 행동에 대해 큰소리로 훈육을 하였다 라면 아이는 선생님의 훈육이 무섭고, 두렵고, 공포감을 가지면서

    불안함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감정으로 인해서 원에 가지않으려는 부분이 커질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아이가 선생님의 큰소리로 인한 훈육으로 놀랐을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주는 것이

    먼저 이겠구요.

    그 다음은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통하여 훈육의 방식이 아이에게 미흡한 것 같다 라고 전달을 하신 후, 훈육을 부드러운 어조로 해주는 것을 부탁 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1개월 아이는 아직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표현하지 못하지만 무섭거나 놀란 경험은 감정적으로 강하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큰소리로 혼낸 상황이 아이에게는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 있고 그 기억이 남아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런 시기의 아이들은 특히 감정적으로 충격을 받은 일을 오래 기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을 피하려 하거나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주고 어린이집이 안전한 곳이라는 것을 반복해서 알려주며 안심시켜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린이집 선생님의 훈육을 무서워 할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도 혼나고 예뻐하는 감정을 모두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21개월 아이도 충분히 감정을 기억하고 위협적인 상황에 놀랄 수 있습니다. 아직 언어 표현은 서툴지만, 감정과 사람의 반응에는 민감할 수 있어요. 큰소리나 혼내는 말투가 아이에게 두려움으로 남을 수 있고, 어린이집 거부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따뜻한 말과 반복적인 안정감을 주면서 천천히 다시 적응하도록 도와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21개월 아이도 혼나는 경험을 충분히 기억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할수 있습니다. 이 시기 아니는 감정에 매우 민감하고, 낯선 어른의 큰 소리나 단호한 말투에 쉽게 놀라고 위축될수 있습니다. 특히 애착 형성 중이거나 낯선 환경에 적응중일 경우 부정적 경험이 어린이집 자체에 대한 거부감으로 이어지기도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무서워하거나 거부 반응을 보인다면 선생님과 함께 아이가 편안하게 느낄수 있도록 긍정적 상호작용을 늘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혼나는 감정을 느끼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린이집을 혼나는 곳으로 인식하고 가지 않으려고 말할 수 있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충분히 공감해 주세요.

    어린이집이 혼나는 공간이 아니고 안전한 공간임을 인식 시키고

    관련해서 선생님과 대화를 나누어 주시면 좋을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