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용어에서 용적률이란 무엇인가요
주탹 아파트 빌딩에 대해서 이런 정보를 알려 주려고 할 때 용적률이란 말이 나오는데요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건축 용어로 전체 대지면적에 대한 건물 연면적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입니다.
용적률이 높다는 건 고밀도, 고층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용적률은 용도지역에 따라서 다르게 규제가 됩니다.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에 따라 다르며, 1종, 2종 등의 따라서도 다르게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용적률은 건물의 과밀화 방지, 건물의 일조권 채광 통풍 등을 위해 주거환경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너무 높게 지으면 화재, 재해에 대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비하기 위해서 규제를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층 바닥 면적을 모두 더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토지의 면적에 비해 연면적이 어느정도 되는지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인데 (용적율 = 건축물바닥면적의 합 / 대지면적 x 100) 용적률 계산시 연면적에서 공중의 통행로, 물탱크, 기타 주민공동시설 등 건축법에서 정한 것들의 면적은 제외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용적률에 따라서 건물의 층수가 결정됩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은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77조, 제 78조 및 동법 시행령 제84조, 제 85조에 근거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규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토지면적 대비 건물 전체면적의 최대한도 제한을 말합니다. 토지가 100평이고 용적률이 200%라면 건축 전체면적은 200평까지 가능한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건물의 연면적을 땅의 넓이로 나눈 비율입니다.
쉽게 말해서
용적률이 높으면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반대로 용적률이 낮으면 저층만 지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용적률은 건물을 지을 토지대비 건물의 연면적이 어느정도인지 나타내는 것으로 각 토지들마다 최대 용적률이 정해져 있어 그 이상으로 건물을 짓지 못합니다.
예를들어 100평의 토지에 50평 구간에 건물이 올라간다고 하면 1층으로 지으면 연면적이 50평, 2층으로 지으면 연면적이 100평이 됩니다.
만약 4층까지 짓는다면 연면적이 200평이고 이는 토지 면적이 200%입니다.
토지 용적률이 200% 였다면 해당 토지에는 층당 50평으로 4층까지 지을 수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