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업재해 이미지
산업재해고용·노동
산업재해 이미지
산업재해고용·노동
강렬한코브라48
강렬한코브라4822.07.09

일용직 근로자 산재처리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개인 사업자이고 혼자 일하는데 가끔 일손이 필요할 경우 일용직 근로자를 며칠 고용하는 경우가 잇습니다.

사업자가 산재가입이 안 된 상태에서

일용직 근로자가 다친 경우 개인사업자가 산재보험에 가입이 안 되어도 근로자가 산재 접수 신청 할수있나요?

(근로계약서는 작성 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접수가 된다면

제가 어떤 불이익(처벌)을 받게 되나요?

그리고 제가 준비해야 될 서류 같은게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사업자가 산재가입이 안 된 상태에서

    일용직 근로자가 다친 경우 개인사업자가 산재보험에 가입이 안 되어도 근로자가 산재 접수 신청 할수있나요?

    신청가능합니다.

    (근로계약서는 작성 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접수가 된다면

    제가 어떤 불이익(처벌)을 받게 되나요?

    4대보험미가입에 대한 신고의무 위반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재해조사표 미제출을 문제삼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준비해야 될 서류 같은게 있는지요?

    해당인력 취득신고 진행하시고, 산업재해조사표제출하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질의와 같이 산재보험에 미가입되어 있더라도 근로자는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산재보험 미가입에 대한 패널티는 사업주가 부담하게 되며, 산재 발생 시 사업주가 재해자에게 지급된 산재보험금의 50퍼센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다만 이는 사업주가 기간 중 납부해야 했던 산재보험료의 5배를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행정사입니다.

    실제 근로자이고 업무상 재해를 당한 경우에는 산재에 미가입 상태라도 산재처리가 가능합니다. 다만 미가입중에 산재가

    발생한 경우 과태료, 근로자 보상의 50% 부과 등 사업주측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


    일용직 근로자가 다친 경우 개인사업자가 산재보험에 가입이 안 되어도 근로자가 산재 접수 신청 할수있나요?

    => 네 가능합니다. 사업주가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은 사업주의 위법행위로, 근로자는 산재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접수가 된다면

    제가 어떤 불이익(처벌)을 받게 되나요?

    => 근로복지공단이 사업주에게 근로자가 요양을 개시한 날부터 1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의 기간 중에 급여청구 사유가 발생한 보험급여액의 50%를 징수합니다. 또한 근로자의 산재보험료를 소급하여 납부하여야 합니다.

    우선 최대한 빨리 사업장과 그 근로자에 대한 산재보험을 가입하시기 바랍니다.